한민구 국방부 장관은 북한이 오는 10월 전략적 수준의 도발을 할 가능성이 크다고 밝혔다.

특히 북한 함정이 서해 북방한계선(NLL) 해상에서 중국 어선을 밀어내고 있으며 이는 의미 있는 일이라고 평가한 뒤 올해 하반기 한일 국방장관회담 개최 가능성에 대해서는 소극적인 입장을 피력했다.

한 장관은 이날 취임 1주년에 즈음해 기자들과 오찬 간담회를 하고 취임 이후 국방정책 성과와 군사외교 추진 방향, 북한 동향 등에 대해 설명했다.

그는 북한 동향과 관련, "(평안북도 철산군 동창리) 미사일 발사장의 발사대 증축 공사가 아직 완공되지 않았다"면서 "10월 전까지는 완료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전략적 수준의 도발이 있다면 10월 당 창건 기념일을 전후로 할 것으로 판단한다"고 말했다.

이는 북한이 전략적인 의도를 가지고 10월에 동창리 발사장에서 장거리 로켓 발사 등의 무력시위를 할 가능성이 크다는 발언으로 분석된다.

이와 관련, 군 당국은 김정은 북한 국방위원회 제1위원장이 올해 노동당 창건 70주년(10월10일)에 맞춰 장거리 미사일 실험으로 의심되는 '인공위성' 발사 준비를 지시했다는 외신 보도를 신빙성 있게 판단하고 있다.

한 장관은 또 서해 북방한계선(NLL) 일대에서 "북한 함정이 중국 어선을 몰아내고 있고 해상에 부표를 설치하는 것도 사실"이라며 "이는 북중 관계와 관련 있는 것으로 생각한다. 최근 들어 북한이 중국 어선을 밀어내는 것은 의미 있는 일이라고 판단한다"고 강조했다.

북중 관계가 과거보다 원활하지 못하는 것이 서해 NLL 일대의 북한 해군의 경계작전에까지 영향을 주지 않았겠느냐는 분석이다.

한 장관은 미국의 고(高)고도미사일방어체계 '사드(THAAD)'의 한반도 배치 문제와 관련, "미국 내에서도 계속 이야기가 되고 있고 검토되고 진행되고 있는 것으로 안다"면서 "아직 (미측에서) 결정되지 않았고 요청도 없다. 요청이 없으니 우리는 아직 검토하지 않는다"고 원론적인 입장을 피력했다.

한 장관은 "(미국의) 요청이 와서 검토해도 늦지 않는다고 생각한다. 결정하고도 2년 넘게 걸린다. 우리가 서둘러야 할 이유 없다"고 말했다.

그는 "외교부 장관이 군에서 실무적으로 들여다보고 있다는 취지의 발언을 했지만 기술적 (검토를) 끝낸 것은 아니다. 미국에서 요청이 와야 (기술적 검토를) 하는 것이다"고 강조해 윤병세 외교부 장관의 최근 언론 인터뷰와 차이를 나타냈다.

특히 한 장관은 지난 4월 한미 국방장관회담 때 "애슈턴 카터 미국 국방장관에게 사드 배치 문제를 물어봤더니 미국에서 결정을 못 하고 있다고 대답했다"고 소개했다.

한미 국방부는 당시 한미 국방장관회담에서 사드 배치 문제는 공식 의제로 논의하지 않았다고 설명한 바 있다.

연내 한일 국방장관회담 가능성과 관련해서는 "북한의 핵과 미사일 대비 등으로 회담할 이유는 있다"면서도 "필요성은 인정하지만 총론적 측면에서 짚고 넘어가야 할 부분이 있다. 그것을 봐 가면서 국방협력을 해야 하고 판단하게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는 한일 국방교류협력은 전체적인 한일관계 진전 속도에 맞게 진행해 나가겠다는 뜻으로, 일본의 태도 변화가 없는 한 당장 개최는 어렵지 않겠느냐는 의지로 분석되고 있다.

간담회에 배석한 류제승 국방정책실장은 "하반기에 (한일 국방당국간) 실무협의 일정이 언제, 어떻게 할지 아직 합의되지 않았다. 그러나 한미일 국방장관의 합의사항인 만큼 반드시 한다. 10월에 하는 것은 너무 늦다"고 말해 조만간 실무협의가 있을 것임을 시사했다.

한 장관은 오는 29일 제2연평해전 기념식에 참석해 추모사를 하는 것에 대해서는 "국가가 할 수 있는 최대의 예우는 기회 있을 때마다 기억하고 추모하는 것"이라며 "해군 총장이 주관하는 행사에 장관이 참석하는 게 좋겠다는 판단을 했다"고 덧붙였다.

방위사업비리 수사와 관련, 한 장관은 "국민의 혈세를 나라 지키는 일에 쓰는 것인데 투명하고 효율적으로 사용해야 한다"면서 "이런 일에 문제가 생겨 심려를 끼쳐 드린 점 죄송하게 생각한다. 수사가 진행 중인데 종합적으로 판단해서 대처하겠다"고 말했다.

한 장관은 주한미군 탄저균 실험에 대해서는 "탄저균 (배송과 실험) 조사는 미측에서 아직 진행 중이다. 결과 나오면 한국과 합동 조사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