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55~1958년생 고용률 절반
“노인빈곤 미리 대비해야”


한국전쟁 이후 약 10년간 출생한 ‘베이비붐 세대’의 고용률이 큰 폭으로 하락할 것이라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베이비붐 세대의 은퇴가 미칠 사회경제적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는 중장기 대책 마련이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20일 경기연구원은 ‘베이비붐 세대의 고용 변화와 경기도 정책 방향’ 연구보고서에서 1955~1958년 출생한 전기 베이비붐 세대의 고용률이 2013년 68.3%에서 2018년 53.8%로 14.5%p 하락할 것으로 예측했다.

1959~1963년 태어난 후기 베이비붐 세대의 고용률 역시 75.3%(2013년)에서 66.2%(2018년)로 9.1%p 떨어질 것으로 전망했다. 이는 같은 기간 전국 전기·후기 베이비붐 세대 고용률 하락 전망치인 10.6%p, 6.4%p 보다 폭이 커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 ┃ 표 참조

한국의 베이비붐 세대는 전쟁 후 출산율이 크게 늘어난 1955년부터 정부의 산아 제한 정책으로 출산율이 둔화되기 전인 1963년까지의 기간에 태어난 51~59세를 뜻한다. 지난 해 기준 전국 베이비붐 세대 711만2천명 중 경기도에 가장 많은 162만4천명(22.8%)이 살고 있다.

도내 베이비붐 세대의 평균 자녀수는 1.89명으로 전국 평균(2.06명)보다 적지만, 평균 가구원수는 3.13명으로 전국 평균(2.99명)을 웃돈다. 부모를 모시거나 친인척을 부양하는 가장이 상대적으로 많다는 것을 짐작할 수 있다.

국민연금 가입 비율은 44.4%로 전국 평균(46.2%)에 미치지 못하고, 연금 가입자 중 10년 이상 장기 납부자의 비율도 타 시·도보다 낮은 편이다. 금융자산 보유자 비율 역시 전국 평균 55.2%보다 낮은 48.8%에 그쳤다. 은퇴 후 공적 소득 보장을 받지 못하면서 금융 소득조차 얻지 못하는 사람들이 타 시·도보다 많을 것으로 예측된다.

도내 베이비붐 세대는 생산가능인구, 취업자수의 약 20%를 차지하고 있다. 은퇴 후 서울을 떠나 경기도에 정착하는 베이비부머가 늘고 있는 상황이어서 그 비율은 증가세를 보일 것으로 예상된다.

연구책임자인 경기연구원 최석현 연구위원은 “도내 베이비붐 세대의 은퇴가 본격화되는 2018년 이후 노인 빈곤 문제가 더욱 악화될 가능성이 높아 경기도는 중고령층 대상 고용지원체계를 시급히 재정비해 전직 지원, 일자리 발굴, 맞춤형 은퇴 설계 지원 등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김명래·이경진기자 problema@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