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제적 대응 시기까지 놓쳐”
예산 부족 ‘보호자 없는 병실’
의료원 병상 1004곳 중 82곳
전국적으로 36명의 사망자(치사율 19.4%)가 발생한 메르스(중동호흡기증후군) 사태가 종식을 앞두고 있는 가운데 경기도의회가 지난달 초 제안했던 ‘발생정보 공유’가 보다 빨리 실행됐더라면 사태를 이 정도까지 키우지는 않았을 것이라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도의회 새정치민주연합은 지난달 3일 논평을 내고 “정부 보건당국은 메르스와 관련된 정보를 알려 불필요한 혼란을 야기하지 말아야 한다”며 “특히 경기도 방역대책본부 실무자와는 긴밀하게 발생지역과 병원, 인원, 조치내용 등을 공유해 효과적인 대응을 해야 한다”고 비판했다.
두 번째 사망자가 발생(6월 1일)한 지 2일만으로, 당시 중앙메르스관리대책본부는 환자 발생병원을 철저히 비공개로 했다.
결국 중앙메르스관리대책본부는 경기도의회와 같은 공개여론이 거세지자 지난달 5일 가장 많은 환자가 발생한 평택성모병원을 뒤늦게 공개했다. 논평이 발표된 지 2일, 국내 메르스 첫 환자가 확인된 지 16일만이다.
평택성모병원은 41명의 메르스 확진환자 중 30명이 발생(6월 5일 기준)한 병원으로, 진작 공개됐더라면 보다 빠른 선제적 대응이 가능했을 것이라는 지적이다.
안혜영 도의회 새정치민주연합 수석대변인은 “정부의 안일한 메르스 사태 초기대응으로 경기도가 많은 피해를 당했다”며 “보다 빨리 정보가 공유됐더라면 방역효과를 높이는 것은 물론, 피해도 최소화됐을 것”이라고 말했다.
도의회 보건복지위원회 행정사무감사때 자주 지적됐던 ‘보호자 없는 병실’도 아쉬움이 남는다는 의견이다. 이번 메르스 사태를 키운 요인 중 하나로 무분별한 간병·문병 문화가 꼽히고 있는데, 보호자 없는 병원은 보호자를 대신해 간호인력이 환자를 돌봐주는 제도다.
예산문제로 공공·민간 병원 모두 턱없이 낮은 수준이다. 도내 공공의료원의 경우 지난해 9월말 현재 전체 1천4병상 중 보호자 없는 병실이 운영 중인 곳은 82병상에 불과하다.
/김민욱기자 kmw@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