롯데그룹의 골육상쟁이 애꿎은 국민연금을 낭패케 했다. 지난달 27일부터 이달 6일 사이 국민연금은 롯데그룹 주식 하락에 따라 약 770억원의 평가손실을 입은 것이다. 그동안 롯데쇼핑, 롯데칠성, 롯데제과 등 상장계열사 8곳의 시가총액이 2조2천300억원이나 증발했기 때문이다. 롯데 오너들의 언론플레이가 결정적이나 경영권을 둘러싼 형제간, 부자간의 막장드라마와 황제경영, 롯데그룹의 정체성 등에 대한 국민적 실망이 화를 키운 것이다. 사이버공간은 롯데가(家)의 추태를 비난하는 글들로 후끈 달아올랐으며 언론은 반(反)롯데 정서를 부추기는데 집중하고 있다. 소상공인연합회는 10일부터 롯데제품 불매운동을 편다고 선언했다. 정치권도 빠르게 반응했다. 서청원 새누리당 최고위원은 ‘국민에 대한 역겨운 배신’이라며 질타했고 이종걸 새정치민주연합 원내대표는 “국민 무서운 줄 모르는 재벌들의 민낯”으로 매도했다. 일부 의원들은 국부의 일본 유출이 우려된다며 면세점 불허(不許)를 주장했다.
정부가 다급해졌다. 이번 8·15특사에 최태원, 김승연 등 오너 경영인들을 포함시키는 등 경제 살리기 분위기를 띄우려는데 자칫 효과 극대화는커녕 엉뚱한 사태로 번질 수도 있기 때문이다. 지난 6일 최경환 부총리가 롯데그룹에 대한 정사(精査) 발언을 신호로 공정위와 국세청이 출동대기 중이다. 조속히 수습하지 않으면 정부가 회초리를 들겠다는 인상이다. 재벌들도 불편하다. 외국계 헤지펀드들이 국내 대기업을 공격할 때마다 단골 메뉴로 삼았던 지배구조문제 불식은 언감생심이고 당장 반(反)기업정서 확산이 걱정인 것이다.
롯데의 골육상쟁이 소송전으로 비화할 경우 경영 공백이 장기화할 수도 있어 고민이다. 경기둔화에 따른 유통 전반의 실적부진은 설상가상이다. 35만여 명의 롯데그룹 및 협력업체 종사자들의 불안은 또 다른 주목 대상이다. 4인 가족 기준 100만여 명의 생계문제가 걸린 것이다. 코리아디스카운트 개연성마저 감지된다. 글로벌시대의 국적자본 시비는 득보다 실이 크다. 위장다국적 기업을 편애한 국민들이 딱하다. 재벌 대물림 관련 형제간 혹은 부자간 분란도 통과의례가 된 지 오래다. 천민자본주의가 역겹더라도 ‘이지메’식 집단매도는 자제 되어야 할 것이다.
롯데분란 집단매도는 득보다 실이 크다
입력 2015-08-09 22:48
지면 아이콘
지면
ⓘ
2015-08-10 13면
-
글자크기 설정
글자크기 설정 시 다른 기사의 본문도
동일하게 적용됩니다.- 가
- 가
- 가
- 가
- 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