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
-
안성
안성시의회 국힘, ‘생색내기 아닌 실질적 폭설 피해지원 예산 편성하라’ 성명서
“피해액 1천800억원인데 지원금 고작 370억원” 안성시의회 국민의힘 의원들이 2025년도 본예산 심사 보류와 관련해 안성시에 ‘생색내기 재난 복구 아닌 실질적 피해지원 예산 편성 촉구’ 성명서를 지난 25일 발표했다. 국민의힘 의원들은 성명서를 통해 “시가 최근 실시한 긴급 예산안 브리핑(12월24일자 5면 보도)은 겉으로는 화려한 대책처럼 보이지만 실제로는 해결책이 미흡해 폭설로 인한 시민들의 피해를 충분히 보상하지 못하는 내용으로 가득하다”며 “특히 김보라 시장의 독단적인 예산 집행 방안은 재난 지원이라는 본질적인 문제를 외
-
재난지원금 추가 투입한 안성시, “민생안정에 행정력 총동원 할 것” 지면기사
市, 폭설피해 복구 긴급 언론브리핑 국비·도비·시비 등 총 337억원 규모 “폭설 피해복구 위해 특별재난지역 선포에 따른 재난지원금에 시비를 추가 투입, 민생 안정에 행정력을 총 집중하겠다.” 안성시가 23일 시청에서 관내 대규모 폭설 피해복구와 관련한 긴급 언론 브리핑을 열고 ‘폭설 피해 지원 계획 및 민생 안정 대책’을 발표했다. 김보라 시장은 “지난달 내린 대규모 폭설로 인해 관내 농·축산가 등 사유시설 6천972개소에서 1천774억원에 이르는 재산 피해가 발생했다”며 “그동안 우리 시는 복구지원에 행정력을 총동원해 제설 장비
-
안성시의회 민주당 “내년 준예산 체제 막기위해 원포인트 임시회 개최해야” 지면기사
본예산 심사 보류에 의회에 소집요구서 제출 안성시의회 더불어민주당 의원들이 2025년도 안성시 본예산 심사 보류(12월20일자 6면 보도)와 관련 준예산 체제를 막기 위해 연내에 임시회를 개최할 것을 요구하는 소집요구서를 의회에 제출했다. 최승혁 원내대표를 비롯한 이관실·황윤희 의원은 지난 20일 “내년도 본예산에 대한 심사 보류로 인해 본예산 의결이 12월31일 자정을 넘길 경우 임시예산으로 기본적인 예산만 집행이 가능한 ‘준예산’ 체제가 가동된다”며 “이 경우 시가 추진 및 시행 중인 시정 활동이 제 기능을 발휘하지 못함은 물론
-
안성시의회, 폭설 피해복구 500억 요구하며 예산 심의 보류 지면기사
지원방식 이견… 국힘 “시장이 예산 편성” 민주 “市와 의회 힘 합쳐야” 안성시의회가 집행부에 폭설 피해 복구 지원예산 500억원의 2025년도 본예산 편성을 요구하며 예산 심의를 보류했다. 의회는 19일 제227회 제2차 정례회 제3차 본회의에서 2025년도 일반 및 특별회계 예산안 심의와 2025년도 기금운영 계획안 심의 등을 보류 결정했다. 정부가 국가재난관리정보시스템(NDMS)을 기반으로 피해 건수와 피해금액, 재정적 지수, 적설량 등을 고려해 안성을 특별재난지역으로 지정했지만 지원예산은 폭설로 인한 총 피해액 1천869억원
-
안성시 폭설 피해액 1천828억원… 특별재난지역 선포 집중
안성시가 지난 달 내린 폭설로 인한 피해액을 1천828억원으로 확정하고 신속한 피해복구에 행정력을 총동원하겠다고 16일 밝혔다. 특히 시는 계엄 사태 후폭풍으로 인해 늦어지고 있는 ‘특별재난지역 선포’에도 만전을 기하겠다는 입장이다. 시는 지난 달 27일과 28일 이틀에 걸쳐 관내에 최대 73cm의 폭설이 내려 공공시설은 물론 사유시설 및 축산업 시설 등이 파손돼 일상생활에 불편을 겪고 있음은 물론 생계유지까지 어려워 지고 있는 실정이다. 또 시는 폭설 피해에 대한 면밀한 조사를 위해 피해신고를 기존 12월8일에서 13일까지로 연정
-
[포토] 박현경 프로골퍼와 ‘사랑의 연탄 나눔’ 지면기사
-
“야외 방치된 제설제, 비상식 행정”… 현장 방문 안성시의회, 관리 질타 지면기사
시의원들 창고 점검… 5곳중 4곳 ‘실외’ “비상식적…이미 딱딱” 관리·감독 질타 지난달 말 폭설때 안성시 제설차량의 40%가 고장 나 제설작업에 차질을 빚었다는 논란(12월13일 7면 보도)이 일고 있는 가운데, 시가 습기·햇빛 등에 취약한 제설제를 야외에 보관한 것으로 드러나 물의를 빚고 있다. 안성시의회는 13일 지난달 27·28일 내린 폭설 당시 불분명한 이유로 제설차량 20대 중 8대가 작동하지 못한 것과 관련해 정확한 원인 파악 및 해결을 위해 관내 제설제 보관창고 현장을 방문했다. 의원들은 시가 운영 중인 5곳의 제설
-
폭설 당시 제때 눈 못치운 안성시… 市 보유 제설차량 40% 고장 논란 지면기사
市, 장비 노후화·과부하 원인 지목 염화칼슘 불량 지적에 전량 교체도 지난달 말 기록적인 폭설이 내릴 당시 안성시가 보유한 제설차량의 40%가 고장나 제설 작업에 차질을 빚은 것으로 확인돼 ‘제설 골든타임을 놓쳤다’는 논란이 일고 있다. 특히 시는 제설차량 고장 사유가 불분명함에 따라 자체조사에 나서는 한편, 선제적 조치로 현재 보유한 12억원에 달하는 염화칼슘 전량 교체에 나섰다. 12일 시 등에 따르면 시는 지난달 27·28일 이틀에 걸쳐 최대 73㎝의 폭설로 인해 관내 공공·사유시설 등 총 1천985억원의 재산 피해가 발생한
-
폭설 당시 제때 눈 못치운 안성시… 市 보유 제설차량 40% 고장 논란
市, 장비 노후화·과부하 원인 지목 염화칼슘 불량 지적에 전량 교체도 지난달 말 기록적인 폭설이 내릴 당시 안성시가 보유한 제설차량의 40%가 고장나 제설 작업에 차질을 빚은 것으로 확인돼 ‘제설 골든타임을 놓쳤다’는 논란이 일고 있다. 특히 시는 제설차량 고장 사유가 불분명함에 따라 자체조사에 나서는 한편, 선제적 조치로 현재 보유한 12억원에 달하는 염화칼슘 전량 교체에 나섰다. 12일 시 등에 따르면 시는 지난달 27·28일 이틀에 걸쳐 최대 73㎝의 폭설로 인해 관내 공공·사유시설 등 총 1천985억원의 재산 피해가 발생한
-
특별재난지역 건의·농가 상황 접수… 폭설피해 복구 지원 팔걷은 지자체들 지면기사
용인시, 신속한 국비 재차 요청 안성·수원시, 장비비용 등 도움 용인·안성·수원시가 지난달 27~29일 내린 폭설 피해 관련 복구비 지원 등에 나선다. 10일 용인시는 폭설 피해 신고액이 552억원으로 집계됐다고 밝혔다. 이는 전날 오후 2시 기준 국가재난안전관리시스템(NDMS)에 입력된 규모로 농림축산 분야가 357억원으로 전체의 64%를 차지했고, 나머지는 주택이나 공장, 상가의 피해액이다. 시가 현장 조사를 통해 확인한 농림축산 분야 피해 규모(8일 오후 5시 기준)는 1천859개 농가 3천393개 시설(총 227㏊)로 나타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