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일 야구장 백현마이스 개발로 폐쇄

4천㎡ ·35억 투입(부지비 제외) 조성

민주당 의견수렴 이유로 반대 무산

성남시가 리틀야구장을 추진 중인 황새울체육공원 위치도.
성남시가 리틀야구장을 추진 중인 황새울체육공원 위치도.

성남시가 분당 황새울체육공원에 리틀야구장을 조성하는 방안을 추진했지만 성남시의회 야당인 더불어민주당이 반대하면서 무산돼 진통이 일고 있다.

성남시에는 분당 정자동 백현지구 내에 유일하게 리틀야구장이 운영되고 있다. 하지만 이 리틀야구장은 백현마이스 도시개발사업에 따라 조만간 사라진다.

시는 이에 따라 수정구 양지동 소재 양지공원에 리틀야구장을 조성하려 했다가 주민 반대·공사기간 등을 감안해 백지화(2024년 6월10일자 8면 보도)했고, 황새울체육공원에 조성하는 것으로 가닥을 잡았다.

양지공원 '리틀야구장' 백지화…

양지공원 '리틀야구장' 백지화… "성남시 졸속 추진 세금만 낭비"

"누굴 위해")에 부딪히자 결국 백지화했다.시는 사전에 주민 의견 수렴 없이 강행하며 관련 예산을 편성해 용역까지 진행하던 상태여서 '졸속행정'·'혈세낭비'라는 비판을 피할 수 없게 됐다.7일 시·주민 등에 따르면 시는 분당 정자동 백현지구 내에 있던 리틀야구장을 백현마이스 도시개발사업에 따라 폐쇄한 뒤 양지동 972번지 일원 양지공원으로 이전하기로 하고 올해 본예산에 사업비로 8억9천여만원을 편성했다.예산 편성 당시 시의회 야당이 반대했지만 시 집행부는 여당과 함께 사업을 강행했고, 이후 주민들 의견을 듣는 절차를 한 차례도 진행하지 않은 채 용역을 발주했다. 이에 지역 주민들은 '누구를 위한 야구장이냐'며 반대 추진위원회를 구성, 서명운동을 벌이는 등 크게 반발해 왔다.양지공원은 원도심(수정·중원구)에 하나밖에 없는 평지공원으로 여가활동 등에 유용하게 활용되고 있는데 특정인들을 위해 리틀야구장을 조성하려 한다고 주장했다. 특히 분당의 평지공원인 중앙·율동공원과 비교하며 원도심 무시라는 목소리까지 냈다.반대 대책위는 양지공원 등 곳곳에 '양지공원 리틀야구장 조성 결사 반대' 등의 현수막을 내거는 한편 서명운동도 벌여 3천360여 명이 참여했다. 반대 운동은 양지동 주민들뿐만 아니라 인근 은행동·금광동 및 은행초·상원여중 등 5개 학교의 학부모회장단도 함께하면서 확산되는 양상을 보였고 총선 때는 수정구에 출마한 여당 소속 장영하 후보도 공식적으로 반대 입장을 밝혔다.반발이 커지자 신상진 시장은 지난 4일 반대 대책위원회 관계자를 만난 자리에서 '백지화하겠다'는 입장을 내놨다. 이에 따라 시는 용역을 중단했고 투입된 예산 중 10%가량을 되돌려받지 못하게 됐다. 또 사업비는 반납해야 하는 상황에 처했다. 졸속행정에다 혈세 낭비라
https://www.kyeongin.com/article/1694886

하지만 시의회 상임위에서 민주당 반대로 관련 안건이 부결되면서 리틀야구장 조성이 또다시 좌초될 상황에 놓였다.

여당인 국민의힘은 오는 17일 본회의 때 상정해 처리한다는 계획이어서 진통이 불가피하다.

시에 따르면 분당구 수내동 42번지 일원 황새울체육공원 내에 조성되는 리틀야구장은 4천㎡ 규모로 건설된다.

총 사업비는 부지비를 제외하고 35억원이며 오는 3월 공원조성계획(변경) 결정 고시, 6월 실시설계인가 고시 등을 거쳐 9월에 착공, 12월에 준공한다는 계획이다.

이와 관련, 지난 10일 시의회 경제환경위원회(위원장·조우현)에 ‘성남시 공유재산 관리계획 변경안’이 상정됐는데 민주당 의원들이 문제를 제기하면서 투표 끝에 부결됐다.

민주당 조정식 의원은 “황새울체육공원 내 녹지 부분을 없애고 리틀야구장을 조성한다는 것인데 시민 공감대는 있었느냐. 지역주민들은 녹지를 더 선호할 텐데 지역주민들에게 사전에 물어봐야 하지 않느냐”고 따졌다. 이군수 의원은 “양지공원에 리틀야구장을 조성하려 할 때 사전 주민설명회가 없었다. 양지공원 사태가 재현될 우려가 있다”고 지적했다.

이에 대해 담당부서 관계자는 “비인기 종목이나 장애인 체육시설의 경우 주민들에게 찬반을 따져가며 사업을 진행하기가 현실적으로 어렵기 때문에 체육정책 부분으로 풀어갈 수밖에 없다. 주민설명회는 사업을 진행하면서 설계 단계에 계획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에 비해 국민의힘 의원들은 “할 거면 제대로 해야 한다”는 취지의 입장을 내놨고 ‘2월 안에 주민설명회’라는 조건부로 찬반투표에 붙여져 국민의힘 4명 찬성, 민주 3명 반대, 위원장 기권으로 부결됐다. 경제환경위는 인원은 모두 8명으로 5명이 찬성해야 의결된다.

성남/김순기기자 ksg2011@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