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착한 경제가 일자리를 만든다·5·끝]협동조합의 종주국 영국

    [착한 경제가 일자리를 만든다·5·끝]협동조합의 종주국 영국 지면기사

    ■ 웨스트밀 에너지 협동조합웨스트밀 주민 2005년부터 태양광·풍력발전 시설 설치"경작지 줄어든다" 반대불구 벌 농장 조성 등 대안 마련 연 5천여가구에 에너지 공급 2030년 수익 8% 조합원 이윤■ 하비스트 내추럴 푸드유기농 식재료·가공품 판매1971년 20명 조합원이 설립현재 80명 근무 '모두가 이사'허브·커피 등 공정무역 앞장타 조합과 물품 교류해 상생수익금으로 지역학생 돕기도영국의 협동조합협회가 발표한 2013년 자료에 따르면 영국 협동조합 개수는 6천323개이며, 이는 2012년 보다 2.5% 증가한 수치다. 사업금액은 370억 파운드(약 67조8천억원), 협동조합 종사원은 1천500만명이 넘는다. 2009년에서 2013년 사이 영국 GDP(국민총생산) 평균 성장률 6.6%에 비해 협동조합이 거둔 GDP 성장률은 13.5%를 기록하며 큰 격차를 보였다. 슈퍼마켓부터 장의사, 여행사, 빵가게, 꽃집, 약국, 문구점 등 수많은 종류의 협동조합이 영국 경제를 이끌고 있다.이중 태양광 발전 협동조합인 웨스트밀 에너지 협동조합 '위셋'(WESET·Westmill Sustainable Energy Trust)과 유기농 식재료 판매 협동조합인 하비스트 내추럴 푸드(Harvest Natural Foods)의 성공사례는 지속가능한 경제의 모델로서 눈여겨볼 만하다.# 웨스트밀 에너지 협동조합2009년 국제협동조합연맹(ICA)은 총회에서 '지속가능한 에너지 경제를 위하여'라는 결의문을 통과시켰다. 정부와 기업은 에너지와 기후 변화 해결에 미온적인 태도를 보이기 때문에 협동조합이 앞장서겠다는 내용이다. 지역에 기반한 공동체 소유의 사업체인 협동조합을 통해 지역 주민들이 에너지 공급과 소비에 대한 통제를 강화시키고, 중앙집권적이고 독과점된 대형 에너지기업으로부터 독립하자는 취지다.이런 취지와 부합하는 영국의 대표적인 에너지 협동조합은 영국 런던 근교인 스윈던(Swindon) 웨스트밀 지역의 에너지 협동조합 위셋(WESET)이다. 이곳 마을 주민들은 2005년부터 협동조합을 설립해 태양광, 풍력발전 시설을 설치하는

  • [착한 경제가 일자리를 만든다·4]마을 공동체의 지역혁신 '로컬리티'

    [착한 경제가 일자리를 만든다·4]마을 공동체의 지역혁신 '로컬리티' 지면기사

    화재로 폐허된 휴양지 헤이스팅스 항구 주민 기금모아 사들여 개발천연 자원 풍부한 라임레지스 지역민 관광상품 만들어 외지인 유치공동체 재건돕는 로컬리티 성공사례… 공동 이윤·일자리 창출 효과아무도 살고 싶어하지 않는 낡은 마을에 생기를 불어 넣으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 마을을 헐어버리고 재개발을 하거나 외지 사람을 끌어모을 수 있는 위락시설을 유치하는 것이 일반적인 구상일 것이다. 하지만 마을을 살리고 지역경제를 활성화시키는 해답은 주민 스스로 갖고 있다. 지역 공동체가 마을에 필요한 것이 무엇인지 직접 발굴하고 이를 위해 무엇을 해야하는지 고민할 때 마을의 재생이 시작된다.영국 북동부에 위치한 항구도시 헐(Hull)은 한 때 거리에 매일 1천여 개의 마약 주사바늘이 나뒹굴 정도로 쇠락한 도시였다. 1900년대 고래잡이가 성행했지만 1930년 경제대공황과 이후 세계대전을 거치면서 몰락의 길을 걸었다. 매춘과 마약, 범죄가 들끓었고 사람들이 찾지 않는 곳이 되어버렸다. 주민들은 어떻게 하면 마을을 살기좋은 곳으로 만들 수 있을지 고민했다. 1994년 몇몇 주민이 버려진 건물과 망한 상점을 싼 값에 인수해 청소년과 노인들을 위한 공간으로 만들었다. 이후 슬럼화된 골목의 건물과 공공시설을 차례로 인수해 보육·의료기관을 세우고 주민을 위한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했다. 이같은 활동은 자연스럽게 고용창출로 이어져 지역의 실업 해소에도 크게 이바지 하게 됐다. 헐 주민들이 펼친 이 프로젝트 이름은 '굿 윈(Good win)'. 영국의 지역 공동체 살리기 네트워크 기관인 '로컬리티'(Locality)가 성공시킨 대표적인 사업 중 하나다. 지역의 지속가능한 발전과 안정적인 일자리 확보를 위해 지역 공동체가 정부에 의존하지 않고 스스로 정부의 파트너가 된 것이다.1970년대부터 영국의 마을만들기, 지역재생 사업을 해온 각 지역별 DT(Development Trust·개발신탁)는 그 역할이 점점 중요해지면서 1993년 전국협의회(DTA·Development Trust Association)로 확대됐다. DTA는 공동체 기업

  • [착한 경제가 일자리를 만든다·3]일자리 문턱 넘는 소외계층

    [착한 경제가 일자리를 만든다·3]일자리 문턱 넘는 소외계층 지면기사

    ■브리게이드 레스토랑런던 작은 주방 임대해 시작한 사업 '입소문'지방정부·민간 지원받아 노숙인 요리사 배출교육 비용 전액 부담·수익금 절반은 '재투자'■렘플로이장애인들에 일자리 소개시켜주는 정부 조직'잘 할 수 있는' 직업 파악해 마지막까지 지원기업 3500여곳과 협력… 2만여명 취직 도와경제활동을 통해 사회와 환경의 변화를 가져다주는 기업을 이른바 '사회적 기업'이라고 한다. 사회적 기업은 취약계층에 일자리를 제공하고 지역사회에 공헌하는데 앞장서고 있다. 수익금은 다시 취약계층의 경제활동을 돕는데 사용된다.영국에는 이같은 사회적 기업이 60만여개에 이른다. 특히 장기 실업자나 장애인 같은 취약계층을 적극적으로 고용하는 프로젝트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노숙인을 고용해 요리사로 양성하는 '브리게이드 레스토랑'(Brigade Restaurant)과 장애인 고용기관 '렘플로이'(Remploy) 등 사회에서 소외되기 쉬운 이들을 고용하기 위한 참신한 아이디어가 나오고 있다.#브리게이드 레스토랑영국 런던에 위치한 브리게이드 레스토랑은 노숙인에게 요리를 가르치고 일자리를 제공해주는 사회적 기업이다. 브리게이드는 1861년 런던 대화재를 추모해 지어진 소방서 건물에 들어서 있다. 시민의 생명과 재산을 지켜주는 소방서처럼 책임의식을 갖고 거리의 노숙인들에게 자립 기회를 제공하자는 의미다.브리게이드 설립자이자 요리사인 사이먼 보일은 2006년 동남아 지역에서 일어난 대규모 쓰나미 현장에서 집을 잃은 사람들을 대상으로 봉사활동을 하다가 이같은 아이디어를 떠올렸다. 첫 시작은 2009년 런던의 작은 주방(Kitchen)을 임대해 노숙인 3~4명을 대상으로 요리와 서빙 등 기술을 전수해주는 것이었다. 이후 입소문을 거치면서 지방정부의 지원도 받게 됐고, 민간 후원자도 나타나기 시작했다.사이먼 보일은 글로벌 회계법인 프라이스워터하우스 쿠퍼스(Pricewaterhouse Coopers)의 후원으로 비어있는 소방서 건물에 입주해 식당을 세우고, 본격적인 노숙인 요리사 양성에 들어갔다. 사이먼 보일은 비욘드푸드재단(BFF·Be

  • [착한 경제가 일자리를 만든다·2]독일의 청년 일자리 창출

    [착한 경제가 일자리를 만든다·2]독일의 청년 일자리 창출 지면기사

    일·학습 병행 '듀얼시스템' 학생 호응 방학기간 직장체험 '최고경쟁률'프로젝트 맡기고 월급 지급 3년뒤 평가 정식 채용… 석사 진학 지원도독특한 아이디어 가진 창업자에 비용·연구공간·법률행정 등 도움돈벌이 수단 넘어 지역발전 공헌하는 '사회적 기업가' 인큐베이팅청년 실업은 동서양을 가릴 것 없이 심각한 사회문제 중 하나다. 하지만 독일만큼은 청년 취업난에서 예외다. 지난해 2분기 기준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가입국 중 청년실업률이 가장 낮은 나라는 독일이었다. 영국이 21.1%, 프랑스가 25.5%의 청년실업률을 보이고 있는 반면, 독일은 7.7%에 불과했다.독일의 낮은 청년실업률은 경제력과도 연관이 있겠지만, 일과 학습을 병행할 수 있는 '듀얼 시스템'에서 해답을 찾을 수 있다. 독일은 우리나라 인문계 고등학교에 해당하는 '김나지움(Gymnasium)'의 재학생을 제외하고, 약 50%의 학생이 직업학교를 다니면서 훈련을 받는 교육시스템이 구축돼 있다. 1주일에 1~2일은 학교에서 이론과 실습을 공부하고, 3~4일은 공장에서 일을 배운다.독일의 기업 대부분이 인재를 키우지 않으면 산업분야에 위기가 온다고 인식하고 있다. 훈련과정에 드는 교통비, 급식비, 작업복 등을 모두 회사에서 지원하는 것도 이때문이다.독일은 학교와 기업의 연계를 통한 일자리 창출 외에도 1인 기업을 세우려는 청년 창업가에 대한 지원 프로그램도 선진화돼 있다. 실업자가 창업을 하는 경우 연방고용청이 1년차에게 월 600유로, 2년차에게 월 360유로, 3년차에게 240유로의 보조금을 지원해준다. 또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국책금융기관인 재건은행(KfW SMA Bank)이 일자리당 최고 10만 유로를 대출해주기도 한다.듀얼시스템을 통해 청년 일자리를 창출하는데 앞장서는 독일의 기업 '칼 마이어(Karl Mayer)'와 청년 창업가 인큐베이팅 기관인 '소셜 임팩트 랩(Social Impact Lab)'을 소개한다.# 칼 마이어독일 헤센주 오버트하우젠(Obertshausen)에 위치한 섬유기계 회사 칼 마이어. 1937년 자동차 부품회사로

  • [착한 경제가 일자리를 만든다·1]독일의 협동조합과 일자리 창출

    [착한 경제가 일자리를 만든다·1]독일의 협동조합과 일자리 창출 지면기사

    ■ Schwabisch Hall대량생산 축산 방법 등장 양돈농가 위기'명품 토종 돼지' 유통·판매 등 주민 공유입맛 소문… 기내·기업체식당 납품 성과도축공장·식당등 400명 근무 '고용 창출'■ Rewe상인조합 연매출 69조 글로벌 기업 성장 직원 중 비조합원 비율 70% '구인 활발''1인1표' 의사결정·경영교육·저금리대출 주식회사형 슈퍼체인과 공존가능길 열어'빵을 팔기 위해 고용하는 것이 아니라, 고용하기 위해 빵을 판다'는 사회적경제. 고용과 착취라는 노동 구조에서 벗어난 이 같은 '나눔의 경제'가 최근에는 사회 양극화와 일자리 부족의 해결책으로 부상하고 있다. 유럽은 일찍이 협동조합을 만들어 조합원끼리 소득을 나눠 갖거나 주민들이 마을의 가치를 활용한 소득원을 직접 창출하기도 하는 등 발 빠르게 사회적경제 체제를 구축하고 있다. 직업교육과 창업교육을 통해 젊은이들에게 기회를 제공하고, 일자리를 구하기 어려운 장애인 등 소외계층을 위한 취업 프로그램을 갖춰놨다. 경인일보는 5차례에 걸쳐 독일과 영국을 중심으로 한 해외 선진 사례를 소개한다. |편집자 주독일은 전체 인구의 4분의 1이 협동조합에 가입돼 있을 정도로 협동조합이 활성화돼 있다. 협동조합이 제공하는 일자리만 78만개이며, 3만5천개의 인턴십 자리도 창출하고 있다. 독일 협동조합의 중심은 금융, 농업, 상업, 소비자 등 4가지 분야다. 지난해 기준 7천600개 이상의 협동조합이 운영되고 있다.협동조합 설립으로 평범한 농촌마을에서 지역경제의 중심지로 탈바꿈한 슈베비슈 할(Schwabisch Hall)과 100년 전통을 지닌 상인협동조합 레베(Rewe)의 성공 이야기를 통해 지역 협동조합의 발전방향을 가늠해 본다.# 슈베비슈 할 협동조합독일 프랑크푸르트에서 200여㎞ 떨어진 바덴뷔텐베르크주(州)의 농촌마을 슈베비슈 할. 1960년대까지만 해도 얼룩 무늬가 특징인 고유품종의 돼지로 유명했지만, 대량생산의 축산방법이 등장하면서 농가에 어려움이 닥쳤다. 슈베비슈 할의 돼지고기는 품질은 매우 높은 반면 대량 생산된 돼지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