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

  • 광명

    경륜장 있는데… 광명시 세입 ‘역차별’ 논란 지면기사

    730억 징수하고 6.3%만 재정 보탬 200억 징수·25.3% 사용 성남과 비교 교육·주거·교통 등 감내하면서도 장외발매소 지자체보다 적어 불만 지방재정법 개정 이후 레저세 전달 구조가 바뀌면서 사업장(본장)을 가진 지방자치단체가 장외발매소를 가진 지방자치단체보다 적은 세입을 얻게 되는 역전현상이 발생해 이에 대한 개선이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레저세는 사행성을 띤 시설에 부과되는 세금으로 경륜·경정·경마·소싸움 등에 부과된다. 경륜의 경우 경륜장 사업장이 있는 광명시뿐 아니라 장외발매소가 있는 수원시와 고양시, 성남시, 부천시 등

  • 광명

    지방재정법 개정 후 일부 지자체 레저세 역전현상… 개선 필요 목소리

    지방재정법 개정 이후 레저세 전달 구조가 바뀌면서 사업장(본장)을 가진 지방자치단체가 장외발매소를 가진 지방자치단체보다 적은 세입을 얻게 되는 역전현상이 발생해 이에 대한 개선이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레저세는 사행성을 띈 시설에 부과되는 세금으로 경륜·경정·경마·소싸움 등에 부과된다. 경륜의 경우 경륜장 사업장이 있는 광명시 뿐 아니라 장외발매소가 있는 수원시와 고양시, 성남시, 부천시 등 8개 지자체에도 레저세 일부가 교부된다. 사행행위가 지역에 미치는 정서적 영향과 함께 교통 체증 등 부수적인 문제까지 고려한 제도다. 레저세는

  • 광명

    광명시 민생안정지원금 신청율 93.4%, 사용율 89.5%

    광명시가 불황에 탄핵 시국이 겹치며 어려움을 겪고 있는 시민들을 부담을 덜어주기 위해 지급한 민생안정지원금의 신청율이 93.4%로 집계됐다. 광명시는 모든 시민에게 10만원의 민생안정지원금을 지급하기로 하고 지난 3월 31일까지 접수를 받았다. 신청 첫날 8만 명이 넘는 신청이 몰려 하루 만에 전체 인구의 29%가 접수했고, 접수 마감 결과 전체 지급 대상자 27만8천167명 가운데 25만9천910명이 신청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원금 사용률도 3월 31일 기준으로 약 232억4천920만원으로 신청 금액의 89.5%가 사용돼 지역 경

  • 광명시, 철산주공 13단지 재건축정비계획 조건부 의결
    광명

    광명시, 철산주공 13단지 재건축정비계획 조건부 의결 지면기사

    광명 철산주공 13단지(철산동 241번지 일대)의 재건축정비계획이 조건부 의결됐다. 광명시는 최근 제1회 도시계획·경관 공동위원회를 열고 철산주공 13단지 주택재건축 정비계획과 정비구역 지정, 지구단위계획 결정(변경 안)을 조건부 의결했다고 30일 밝혔다. 2023년 1월 재건축 정밀안전진단을 통과한 뒤 지난해 8월 재건축추진준비위원회가 정비계획 및 정비구역 지정(안)을 입안 제안하며 본격적인 정비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정비계획에 따르면 지하 3층, 지상 49층 규모로 3천719가구의 공동주택이 들어선다. 복리·부대시설도 포함됐다.

  • 광명시-관내 6개 학교 ‘다목적체육관 개방’ 업무협약… 체육복지도시 도약
    피플일반

    광명시-관내 6개 학교 ‘다목적체육관 개방’ 업무협약… 체육복지도시 도약 지면기사

    광명시 내 학교들이 교내 체육관을 시민들에게 개방한다. 시는 28일 광명교육지원청 나눔배로실에서 관내 6개 학교와 다목적 체육관 개방을 위한 업무협약을 맺고 학교 체육관을 지역 주민에게 개방해 지역사회 체육활동을 활성화하기로 했다. 이번 업무협약은 학교와 지역 간 상생 협력 체계를 구축하는 것이 목적이다. 협약에 참여한 학교는 하안남초와 광명중, 빛가온중, 하안북중, 광휘고, 운산고 등 6개 학교다. 앞서 시는 2019년 16개 학교를 시작으로 2022년에는 31개 학교, 올해 6개 학교를 추가해 현재까지 37개 학교와 체육관 개방

  • 광명

    복지사각지대 · 위기가구 찾아라… 광명시, 4대 안전망 구축 촘촘히 지면기사

    市, 데이터 활용해 고위험군 선별 등기우편 서비스, QR코드 도입도 광명시가 복지사각지대 발굴을 위한 4대 사업을 추진한다. 이길용 사회복지국장은 26일 시청 중회의실에서 ‘복지사각지대 발굴 4대 안전망 가동 계획’을 발표하고 이를 통해 위기 징후를 놓치지 않는 복지안전망을 구축하기로 했다. 시는 우선 빅데이터를 활용해 고위험 취약가구를 선별한다. 단전과 단수, 휴·폐업, 실직, 통신비·건강보험료 체납 등 47가지 위기 징후의 빅데이터를 2개월 주기로 수집하고 위기가구를 조사해 그 결과를 시스템에 등록하고 위기상황에 따라 맞춤형 서

  • 박승원 광명시장 “이재명 대표 무죄는 사필귀정”
    광명

    박승원 광명시장 “이재명 대표 무죄는 사필귀정”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대표의 무죄판결에 대해 박승원 광명시장은 “검찰의 무리한 기소였다”며 “사필귀정”이라고 입장을 내놨다. 박승원 시장은 26일 이재명 대표의 공직선거법 위반 사건에 대한 항소심에서 무죄판결이 나오자, 자신의 SNS계정에 ‘이재명의 무죄는 사필귀정이다’라는 문장으로 시작하는 글을 올렸다. 이를 통해 “부디 바라건데 더 이상 야당 대표 죽이기를 멈추길 바란다”며 “얼마나 국력을 낭비하고 있는가. 민생을 살피고 경제를 살리는 일에 총력을 다해야 한다”고 밝혔다. 또 윤석열 대통령의 탄핵심판도 언급했다. 박승원 시장은 “

  • 광명시, 복지사각지대 발굴 4대 안전망 가동
    광명

    광명시, 복지사각지대 발굴 4대 안전망 가동

    광명시가 복지사각지대를 발굴하기 위한 4대 사업을 추진한다. 이길용 사회복지국장은 26일 시청 중회의실에서 ‘복지사각지대 발굴 4대 안전망 가동 계획’을 발표하고 이를 통해 위기 징후를 놓치지 않는 복지안정망을 구축한다고 밝혔다. 먼저 빅데이터를 활용해 고위험 취약가구를 선별한다. 단전이나 단수, 휴·폐업, 실직, 통신비·건강보험료 체납 등 47가지 위기 징후를 나타내는 빅데이터를 2개월 주기로 수집하고 위기가구를 조사한다. 그리고 결과를 시스템에 등록하고 위기상황에 따라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 핵심이다. 데이터 품질이 좋아

  • 광명시 근로소득 41.9% 급증… 고소득 일자리 창출 ‘성과’
    광명

    광명시 근로소득 41.9% 급증… 고소득 일자리 창출 ‘성과’ 지면기사

    市, 재개발·이동 편의 등 향상… 전국 157개 시·군 중 ‘연평균 증가율 1위’ 전국 157개 시·군 가운데 2016~2023년 근로소득 연평균 증가율이 가장 높은 도시가 광명시인 것으로 조사됐다. 국세청이 발표한 ‘2024년 국세통계연보’에 따르면 2023년 광명 거주지 기준 평균 근로소득은 2016년 3천283만원에서 1천375만원 증가(41.9%)한 4천658만원을 기록했다. 이는 매년 평균 5.13%씩 꾸준히 증가한 것이다. 이같은 증가세는 광명시의 재개발·재건축 사업, 교통·생활 인프라 개선 등으로 주거 환경과 이동 편의

  • 광명 ‘공공매입 임대주택’ 126호 계획
    광명

    광명 ‘공공매입 임대주택’ 126호 계획 지면기사

    市, 신혼부부·청년 감소 도내 1위 집값 상승 탓… 젊은층 집중 공급 주변시세 60~80% 시민 부담 완화 광명시가 청년과 신혼부부 등 시민들의 부담을 덜어주기 위해 ‘공공매입 임대주택’을 집중 공급한다. 시는 20일 시청 중회의실에서 주간 브리핑을 갖고 올해 광명도시공사에 150억원을 출자해 임대보증금과 월 임대료가 주변시세의 60~80%선으로 경제적 부담을 줄인 행복주택 126호 등 공급매입 임대주택 계획을 밝혔다. 통계청의 ‘2023년 신혼부부통계’에 따르면 광명시의 신혼부부는 2023년 5천196쌍으로 2019년 7천853쌍