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 명예도로 톺아보기
-
중구 ‘1885아펜젤러선교길’ [인천 명예도로 톺아보기·(15)] 지면기사
한국 최초의 감리교회인 인천 제물포교회(현 내리교회) 설립 주도한 아펜젤러. 인천 중구는 그의 업적을 기리고자 제물량로 일대를 ‘1885아펜젤러선교길’로 지정했다.
-
야경·수향원 한눈에 담다… 계양아라온거리 [인천 명예도로 톺아보기·(14)] 지면기사
아름다움을 뽐내는 전통 누각 수향루부터 시선을 사로잡는 미디어큐브까지. 계양구는 계양아라온을 알리기 위해 아라자전거북길 일부 구간을 명예도로로 지정했다.
-
첫 국제 콘퍼런스 유치 기념… 연수구 ‘유네스코평생학습의길’ [인천 명예도로 톺아보기·(13)] 지면기사
건강하고 회복력 있는 도시 만들기와 함께 교육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시한 유네스코 학습도시 컨퍼런스. 이를 기념하고자 연수구는 센트럴로 2.6km 구간을 ‘유네스코평생학습의길’로 지정했습니다.
-
독립을 향한 함성이 울리던 곳… 황어장터 3.1 만세운동 거리 [인천 명예도로 톺아보기·(12)]
인천시는 지난 1일 3·1절 106주년을 기념해 인천시 계양구 ‘황어로 126’를 ‘황어장터 3.1 만세운동 거리’로 지정했다.
-
공식이민 첫 출발지이자 거점… 송도국제도시 재외동포청로 [인천 명예도로 톺아보기·(11)] 지면기사
2023년 6월 인천 송도국제도시에 생긴 재외동포청은 외교부 소속 중앙정부기관이다. 정부는 대통령 공약을 토대로 2022년부터 재외동포 지원을 담당한 제주도 소재 재외동포재단을 승격해 재외동포청 설립을 추진했다.
-
우리 바다 지킨 영웅들을 기억하는 법… 인천 중구 해양경찰로 [인천 명예도로 톺아보기·(10)] 지면기사
인천 바다 안전과 해양주권 보호를 위해 애쓰는 해양경찰을 알리기 위해 인천 중구는 지난해 5월 해양경찰로라는 명칭으로 명예도로를 지정했다.
-
야구의 전설 따라 걷는 길… 동구 류현진 거리 [인천 명예도로 톺아보기·(9)] 지면기사
한국 이어 미국까지 평정한 코리안몬스터 류현진. 인천의 야구 장학생 선발하며 고향 사랑을 보여준 가운데, 모교인 동산고 인근에 그의 이름을 딴 거리도 존재한다.
-
협궤열차 추억따라 도시의 숨결 지난다… 미추홀구 ‘수인선 바람길숲’ [인천 명예도로 톺아보기·(8)] 지면기사
옛 수인선 철로 그대로 간직한 미추홀구 바람길숲. 협궤열차 조형물부터 풍부한 생태자원까지 볼거리도 풍부하다.
-
심청의 고향, 최북단 백령도… 이야기 흐르는 옹진군 ‘효녀심청이길’ [인천 명예도로 톺아보기·(7)] 지면기사
국민 효녀 심청이의 배경된 백령도는 1999년 동상과 전시관을 비롯한 심청각을 만들었고, 부모공경과 권선징악의 상징인 그를 기리기 위해 옹진군 첫 명예도로인 ‘효녀심청이길’을 세웠다.
-
한국 최초 영세자 기리는 ‘순례의 길’… 남동구 ‘이승훈베드로길’ [인천 명예도로 톺아보기·(6)] 지면기사
이승훈 베드로는 우리나라 최초로 세례를 받고 천주교 신앙공동체를 이끈 인물이다. 외국인 선교사의 개입 없이 국내에 천주교를 알린 선구적 인물이라는 평가를 받는다.
-
한국미학에 이바지한 우현 선생 기억… 중구 ‘고유섭길’ [인천 명예도로 톺아보기·(5)] 지면기사
그는 한국 미술사를 체계적인 학문으로 개척한 첫 인물로 평가된다. 1944년(향년 40세) 세상을 떠나기 전까지 12년 동안 80여편의 논문을 남기며 일생을 한국미학에 바쳤다.
-
세계 최고 ‘해경 치안기관’ 희망을 닦다… 연수구 ‘해양경찰청로’ [인천 명예도로 톺아보기·(4)] 지면기사
인천 유일 중앙행정기관인 해양경찰청. 2014년 해체로 주춤했지만 2018년 청사복귀와 함께 지난 9월에는 ‘해양경찰청로’까지 생기면서 세계 최고 해양 치안 기관으로 거듭날 준비만 남았다.
-
인천을 설계한 ‘길이 되는 사람’… 연수구 ‘최기선로’ [인천 명예도로 톺아보기·(3)] 지면기사
인천지하철 1호선·송도 신도시… 지금의 인천을 설계한 최기선 前 시장, 그를 기리는 도로가 연수구에 존재한다.
-
‘제2연평해전’ 영웅과 함께 걷다… 연수구 ‘윤영하소령길’ [인천 명예도로 톺아보기·(2)] 지면기사
제2연평해전 영웅 故 윤영하 소령, 그의 추모식은 2003년 이후 매년 모교 송도고에서 열린다. 특히, 올해는 명예도로 지정까지 진행돼 더욱 의미가 뜻깊었다.
-
훈맹정음 만든 업적, 인천 강화군 ‘송암박두성로’ 기억하다 [인천 명예도로 톺아보기·(1)] 지면기사
인천 지역 명예도로에 걸린 이름이 어떤 배경에서 나왔는지 자세히 살펴본다. 인천이라는 도시에 대한 이해를 높이는 계기가 되길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