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객선 세월호 침몰 사고
-
세월호 수면 위 8.5m 상승… 세월호인양 늦어진 이유는?
세월호 인양 작업이 다소 늦어지고 있다.23일 해양수산부에 따르면 세월호는 이날 오후 5시 기준으로 수면 위로 8.5m 올라왔다.세월호는 이날 오후 2시 수면 6m 위까지 오른 뒤 3시간 동안 2.5m 오르는 데 그쳤다.해수부가 목표로 잡은 높이, 수면 위 13m의 절반 이상 공정을 진행했지만 본 인양 초기보다는 속도가 떨어진 상태다.해수부는 "세월호와 잭킹바지선 간 간섭하는 문제를 해결 중"이라고 설명했다.인양 속도가 줄어든 것은 세월호가 물 위로 올라오는 과정에서 바지선 인양줄에 세월호 선체가 닿는 간섭 현상이 발생했기 때문이다.인양업체 상하이 샐비지는 이 문제를 해결하고자 60개 인양줄의 장력을 미세 조정하면서 선체의 자세를 조금씩 조절하고 있다.해수부는 당초 세월호를 13m까지 인양하는 작업을 이날 오전 11시까지 완료한다는 목표를 설정했으나 이날 밤늦게까지 미뤄지게 됐다.25일부터는 소조기가 끝나고 중조기로 넘어가면서 조류가 빨라져 그 전까지는 13m 인양 및 고박 작업을 마쳐야 한다./양형종 기자 yanghj@kyeongin.com23일 오후 전남 진도군 사고 해역에서 세월호가 인양되고 있다. 인양줄을 끌어올리는 잭킹바지선의 구조물인 '수트'(연결 도르래)에 세월호 선체가 부딪히는 현상도 나타나고 있어 인양 작업이 지체되고 있다. /연합뉴스
-
[경인포토]시민들 발길 잇따르는 세월호 정부합동분향소
세월호 정부합동분향소
-
[경인포토]'미안하다 얘들아' 세월호 정부합동분향소 찾은 시민들
세월호가 침몰 1천73일만에 모습을 드러낸 가운데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화랑유원지 내 세월호 참사 희생자 정부합동분향소를 찾은 추모객들이 희생자들의 넋을 기리고 있다. /조재현기자 jhc@kyeongin.com
-
[경인포토]'잊지 않겠습니다' 세월호 정부합동분향소 찾은 시민들
세월호가 침몰 1천73일만에 모습을 드러낸 가운데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화랑유원지 내 세월호 참사 희생자 정부합동분향소를 찾은 추모객들이 희생자들의 넋을 기리고 있다. /조재현기자 jhc@kyeongin.com
-
[경인포토]세월호 정부합동분향소 찾은 추모객들
세월호가 침몰 1천73일만에 모습을 드러낸 가운데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화랑유원지 내 세월호 참사 희생자 정부합동분향소를 찾은 추모객이 희생자들의 넋을 기리고 있다. /조재현기자 jhc@kyeongin.com
-
[경인포토]3년만에 모습 드러낸 세월호… 정부합동분향소에 추모 발길
세월호가 침몰 1천73일만에 모습을 드러낸 가운데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화랑유원지 내 세월호 참사 희생자 정부합동분향소를 찾은 추모객들이 희생자들의 넋을 기리고 있다. /조재현기자 jhc@kyeongin.com
-
[경인포토]추모객 발길 잇따르는 세월호 정부합동분향소
세월호가 침몰 1천73일만에 모습을 드러낸 가운데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화랑유원지 내 세월호 참사 희생자 정부합동분향소를 찾은 추모객이 희생자들의 넋을 기리고 있다. /조재현기자 jhc@kyeongin.com
-
[경인포토]팽목항 세월호 희생자 추모공간
23일 오후 전남 진도군 팽목항에 세월호 참사로 숨진 희생자들을 추모하기 위한 공간이 마련돼 있다./하태황기자 hath@kyeongin.com
-
[경인포토]세월호 인양 작업 한창
23일 오후 전남 진도군 조도면 맹골수도 세월호 침몰사고 현장에서 세월호가 침몰 1천73일만에 선체 일부가 수면 위로 처음 떠올라 인양 작업이 한창 진행 중이다./하태황기자 hath@kyeongin.com
-
[경인포토]세월호 인양할 반잠수정 대기중
23일 오후 전남 진도군 사고 해역에서 이뤄지는 세월호 인양 현장 옆에 선체를 목포신항으로 실어나를 반잠수정이 대기하고 있다./하태황기자 hath@kyeongin.com
-
[경인포토]세월호 인양이 진행되고 있는 동거차도 모습
세월호 인양이 진행되고 있는 동거차도 모습./하태황기자
-
세월호 선체 균열 포착?… 해수부 "정상적인 선박 구조물"
23일 세월호 인양 현장을 촬영한 일부 사진에서 선체 표면에 균열이 생긴 것 같은 장면이 포착됐으나, 선박의 정상적인 구조물인 것으로 확인됐다.이날 오후 2시 이후 공개된 세월호 인양 현장의 일부 사진을 보면 물 위로 떠오른 선체 표면에 마치 움푹 팬 것처럼 어두운 부분이 있다.선박 옆면에 볼록 튀어나와 선박의 균형을 잡아주는 구조물인 스테빌라이저 부근에 마치 큰 균열이 생긴 것처럼 보인다. 이에 한때 '금이 간 것 아니냐'는 의혹이 제기됐다.이와 관련 해수부는 "스테빌라이저와 빌지킬이라는 구조물의 그림자 등이 균열처럼 보인 것"이라고 설명했다.선첸하오에 탑승한 해수부 관계자는 "빌지킬이라는 구조물로 (선체는) 정상 상태"라고 설명했다./양형종 기자 yanghj@kyeongin.com23일 오후 전남 진도 동거차도 앞바다에서 인양작업이 진행 중인 세월호의 선체에 균열로 보이는 부분(붉은 원)이 발견됐다. 이에 대해 해수부는 "스테빌라이저와 빌지킬이라는 구조물의 그림자 등이 균열처럼 보인 것"이라고 설명했다. 빌지킬은 물고기 지느러미처럼 선박 양옆에 붙은 철판으로 역시 선박의 균형을 잡아주는 역할을 한다. /연합뉴스
-
[세월호 인양]전세계 유례없는 대형 여객선 통째 인양… 대부분 절단 인양이나 포기
침몰한 지 1천73일 만인 23일 수면 위로 떠오른 세월호 인양 작업은 대형 여객선을 통째로 들어 올리는 작업 방식만으로도 세계에서 전례를 찾아보긴 힘든 방식이다.특히 유속이 빠른 맹골수도와 같은 해역에서 침몰한 대형 여객선을 인양한 사례는 단 한 차례도 없었다.비록 인양 방식 변경과 더딘 작업으로 세월호 인양업체인 상하이샐비지의 기술력에 의문을 제기하는 목소리도 컸지만 상하이샐비지가 세월호를 통째로 인양하기 위해 시도하고 있는 텐덤 리프팅(Tandem lifting) 방식은 그만큼 어려운 작업이라는 평가다.텐덤 리프팅 방식은 해양 크레인을 활용해 인양하는 '플로팅 독' 방식과 달리 선체 아래 설치된 리프팅 빔을 끌어올려 반잠수식 선박에 얹는 인양방법이다. 가장 최근 통째로 선박이 인양된 사례는 지난 2015년 6월 1일 중국 양쯔강에서 침몰한 여객선 둥팡즈싱호가 닷새 만에 통째로 인양된 사례가 있었다. 그러나 크기 면이나 여건 등 모두 세월호와 비교 될 순 없었다.당시 중국 당국은 456명의 탑승객 중 구조된 14명 이외에 추가 생존자가 있을 가능성이 희박해지자 침몰 나흘째 되던 날 유족들의 참여를 배제하고 선체를 끌어올렸다.그러나 둥팡즈싱호는 길이 76m, 폭 13m, 여객정원 534명으로 길이 145m, 폭 22m, 여객정원 921명에 달하는 세월호에 비하면 절반 수준의 규모였다.또 세월호가 침몰한 맹골수도는 물살이 센 해역이고 수심이 깊은 바다지만 둥팡즈싱호가 침몰한 양쯔강은 수심이 얕고 유속도 빠르지 않은 데다 침몰 지점이 육지와 가까운 지점이라 인양 작업이 수월한 편이었다.전세계 선박 침몰 사례를 봐도 맹골수도처럼 험한 해역에서 세월호 크기의 선박을 통째로 인양한 사례는 찾아보기 힘들다.지난 2014년 해양수산부가 낸 자료에 따르면 외국에서는 대부분 선체를 절단하고 인양하는 방식을 택한 것으로 나타났다.2000년 이후 발생한 7천t급 이상 외국 선박의 주요 침몰사례 15건 중 선박을 인양한 사례는 14건이지만 이 중 상당수는 선체를 절단해 인양했다.여객선은 아니지만 2000년 러시아 북부
-
세월호 구름 '진짜다'… 공군 "관련없어"·기상청 "매우 특이한 형태"
1천72일만에 세월호 인양작업이 시작된 22일 강원 원주 일대 하늘에서 세월호 희생자를 기리는 표식인 '노란 리본'과 같은 모양의 구름이 포착돼 전 국민의 관심을 끌고 있다.22일 오후 6시 38분께 강원 원주시 단구동 하늘에서 리본 모양의 구름이 관측됐다.일각에선 '합성사진'이라는 의혹도 제기됐으나, 사진 촬영자가 확인되면서 의혹은 일단락됐다. 사진 전문가도 "합성 흔적이 없다"고 말했다. 세월호 구름 사진을 촬영한 김태연 씨는 23일 연합뉴스 통화에서 "회사 셔틀버스에서 내려 평소 버릇처럼 서쪽 하늘을 바라봤는데 세월호 리본 모양을 한 구름을 발견하고 깜짝 놀랐다"고 당시 상황을 설명했다. 세월호를 인양하는 날 노란 리본을 똑 닮은 구름이 나타났다는 사실에 네티즌들은 '신기하다'면서도 구름이 어떻게 생성된 것인지 궁금해했다. 일각에선 강원도에 있는 공군비행장의 전투기가 지나간 비행운 아니겠느냐는 의견도 제기됐으나 공군 측은 "관련이 없다"는 입장이다. 강원 원주 공군 제8전투비행단 관계자는 "어제 그 시각에는 훈련 비행이 있긴 했지만, 비행운이 생길 고도는 아니다"라며 "공군 훈련비행과 리본 구름과는 관련이 없는 것 같다"라고 말했다.이어 "곡예비행을 하는 공군 특수비행팀 '블랙이글스'가 원주 비행장을 모기지로 하고 있긴 하지만, 말레이시아 방위산업전시회 LIMA(국제해양항공전) 에어쇼에 참가하고 있다"라고 덧붙였다.기상 전문가들은 '권운'일 가능성을 제기하면서 "리본 구름은 매우 특이한 형태"라고 분석했다.기상청 관계자는 "어제 나타난 구름은 두께가 얇은 띠 형태의 '권운'으로 볼 수 있다"라며 "보통 권운은 수증기가 많은 날 높은 하늘에서, 바람이 불어 기온이 낮아지면서 생성되는 구름이다"라고 설명했다.이어 "권운은 바람 방향에 따라 휘기도 하지만, 리본 형태를 띨 정도로 한 바퀴 이상 꺾인 경우는 매우 특이한 사례"라고 덧붙였다./양형종 기자 yanghj@kyeongin.com지난 22일 오후 6시 38분께 강원도 원주시 단구동 단구사거
-
[경인포토]분주한 세월호 인양 현장
23일 오후 전남 진도군 조도면 맹골수도 세월호 침몰사고 현장에서 세월호가 침몰 1천73일만에 선체 일부가 수면 위로 처음 떠올라 인양 작업이 진행 중이다./하태황기자 hath@kyeongin.com
-
[경인포토]'1천73일만에..' 인양 작업 중인 세월호
23일 오후 전남 진도군 조도면 맹골수도 세월호 침몰사고 현장에서 세월호가 침몰 1천73일만에 선체 일부가 수면 위로 처음 떠올라 인양 작업이 진행 중이다./하태황기자 hath@kyeongin.com
-
[경인포토]3년 만에 수면 위로 모습 드러낸 세월호
23일 오후 전남 진도군 조도면 맹골수도 세월호 침몰사고 현장에서 세월호가 침몰 1천73일만에 선체 일부가 수면 위로 처음 떠올라 인양 작업이 진행 중이다./하태황기자 hath@kyeongin.com
-
[경인포토]모습 드러낸 세월호… 상하이샐비지 인양작업 분주
23일 오후 전남 진도군 조도면 맹골수도 세월호 침몰사고 현장에서 세월호가 침몰 1천73일만에 선체 일부가 수면 위로 처음 떠올라 인양 작업이 진행 중이다./하태황기자 hath@kyeongin.com
-
[경인포토]침몰 1073일 만에 모습 드러낸 세월호
23일 오후 전남 진도군 조도면 맹골수도 세월호 침몰사고 현장에서 세월호가 침몰 1천73일만에 선체 일부가 수면 위로 처음 떠올라 인양 작업이 진행 중이다./하태황기자 hath@kyeongin.com
-
[경인포토]3년 만에 물 위로 떠오른 세월호
23일 오후 전남 진도군 조도면 맹골수도 세월호 침몰사고 현장에서 세월호가 침몰 1천73일만에 선체 일부가 수면 위로 처음 떠올라 인양 작업이 진행 중이다. /하태황기자 hath@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