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
-
공연·전시
시대 변해도 개념 그대로 '신문+낭독' 퍼포먼스 [경기도&미술관·(7)] 지면기사
성능경의 '신문읽기' 신체·일상 엮어 '예술의 탈물질화' 실천퍼포먼스를 소장할 수 있을까. 시간과 함께 변화하고 흩어지고 휘발되는 퍼포먼스는 어떻게 소장할 수 있을까. 퍼포먼스의 개념을 소장하면 끝을 향해 달려가는 이 순간들을 붙잡을 수 있을까.경기도미술관은 국내 최초로 퍼포먼스의 개념을 '작품'으로 수집해 소장하고 있다. 성능경의 '신문읽기'는 미술관이 소장하고 있는 퍼포먼스 작품이다. 작품을 수장고에 넣기까지, 그리고 최근에 작품을 대여하기까지 많은 고민이 있었다. '신문읽기'는 '개념서' 형태로 퍼포먼스의 본질적 행위를 구현할 수 있는 작품의 '개념'과 '수행' 방법을 담고 있다.성능경은 1970년대 한국 현대미술의 전개 과정에서 전위적인 실험미술로 기성 화단에 변화를 모색했던 대표적인 작가로 평가된다. 작가는 신체와 일상의 재료를 이용해 예술의 탈물질화와 일상성의 회복을 지향하며 수행과 참여를 강조하는 퍼포먼스를 꾸준히 전개하고 있다.'신문읽기'는 성능경을 한국 전위 미술 1세대로 각인시킨 제3회 'ST'에서 선보인 '신문: 1974.6.1. 이후'의 연장선에 있는 작품이다. '신문: 1974.6.1. 이후'에서 작가는 전시 기간 중 매일 그날의 신문을 구해 한 부분을 낭독하고, 낭독한 글을 오려내는 행위를 반복하며 시대에 대한 저항을 보여주었다.이후 이 작품은 개념은 같지만, 보다 행위성을 강조한 '신문읽기'로 변주된다. '신문읽기'에서 신문의 기사는 작가의 목소리를 타고 공기 중으로 흩어지고 신문지에서 오려내어진다. 마지막에는 그 어떤 것도 남지 않는다. 소리 내어 읽는다는 수행성과 일시성이 이전보다 더 강조된 개념적인 작품으로 작가의 대표적인 퍼포먼스 중 하나이다.미술관이 소장하고 있는 '신문읽기 행위 얽이 개념서'에 덧붙이는 글에는 종이 없는 시대의 신문읽기, 그리고 모두의 목소리로 만드는 신문읽기를 예견하며 작품의 지속가능성을 덧붙였다. 2021년 미술관이 선보인 '신문읽기'는 이러한 '덧붙이는' 글에 따라 작가와 함께
-
공연·전시
1950년대 '필리핀 영화 황금기 대표작' 국내 첫 상영 지면기사
한국영상자료원, 28일~내달 12일까지 기획전 'LVN Pictures' 개최… 총9편 1950년대 필리핀 영화의 황금기를 대표하는 작품들을 만날 수 있는 기획전이 열린다. 한국영상자료원은 오는 28일부터 6월 12일까지 시네마테크 KOFA에서 '필리핀 영화의 황금기: LVN Pictures'를 개최한다. 이번 기획전에서는 1950년대 필리핀 영화의 1차 황금기를 이끈 LVN의 작품 가운데 디지털화 된 9편을 상영할 예정으로, 모든 작품은 국내 최초로 상영된다.LVN은 1938년 필리핀의 대표적인 감독 중 한 명인 '마이크 데 레온'의 할머니 '도나 나르키사 데 레온'과 친구인 '카르맨 빌롱코', '엘루테디로 나보아'가 자신들의 이름 이니셜을 합쳐 만든 회사이다. 1939년 '내 사랑'을 시작으로 코미디·뮤지컬 영화 제작에 강세를 보였으며, '슈퍼프로덕션' 대작 영화들을 주로 제작해 필리핀 최대 영화 제작사로 이름을 알렸다. 1961년 포스트 프로덕션 회사로 바뀌기 전까지 대략 130편의 작품을 제작했고, 1955년부터 1956년 사이에는 한 달에 3~4편의 영화를 만드는 등 LVN은 필리핀 영화계 활기의 중심에 있었다.기획전은 필리핀 영화의 근간을 이룬 필리핀 고전 영화들을 한자리에서 만날 수 있도록 1930~1960년까지 주요 필리핀 영화 9편을 상영한다. 현재 필리핀에 남아 있는 태평양 전쟁 이전 작품은 5편으로, 뮤지컬·농촌드라마인 '내 사랑'과 동명의 서사시를 각색한 대작 영화 '아다르나'를 국내 최초로 선보인다. 1948년 태평양 전쟁 후 제작된 '맹세'는 올해 디지털화를 마친 작품으로 필리핀을 제외한 첫 해외 상영이다. 이와 함께 필리핀 리얼리즘 영화 계보의 초석인 '슬픔의 아이:폐허', 바다에 사는 부족 '바자오족'을 주인공으로 한 대작 영화 '바자오: 집시의 바다', 황금기 시작 시기에 제작된 '파시그 강의 뮤즈', 필리핀 스튜디오 제작시스템의 완숙기에 제작된 '말바로사'·'대지의 축복', 무성영화 연출법을 차용한 '세
-
공연·전시
[인터뷰]인천 록의 영광의 시대는 언제였죠? ‘더씬 2024’ 무대 나선 아웃사이더스 이민우·박창곤
“영감님의 영광의 시대는 언제였죠?" 1990년대 대중문화의 상징인 일본 농구 만화 '슬램덩크'에서 주인공 강백호가 마지막 경기 때 말한 가장 유명한 대사다. 이 만화는 생명력을 잃지 않고 2022년 말 개봉한 애니메이션 '더 퍼스트 슬램덩크'의 흥행으로 다시금 '슬랭덩크 열풍'을 일으켰다. 인천에서 대중음악, 더 구체적으로 록 음악의 영광의 시대는 언제였을까. 많은 이가 인천 록 음악 씬(Scene)이 살아 있던 1980년대 중반부터 1990년대 중반까지 약 10년 동안을 두말없이 꼽는다. 슬램덩크가 부활한 것처럼 그 시절 동인천, 제물포역과 주안역, 관교동(인천문화예술회관 인근 지역)을 누비던 록 밴드들이 '영광의 시대'를 재현하기 위해 돌아왔다. 인천문화예술회관이 개관 30주년 기념으로 기획한 4차례의 조인트 콘서트 '더씬 2024'에서 이들을 만날 수 있다. '더씬 2024' 마지막 주자로 나서는 록 밴드 '아웃사이더스'의 드러머 이민우와 기타리스트 박창곤을 최근 인천 부평구 캠프마켓 내에 있는 인천음악창작소에서 만났다. 이들은 전업 뮤지션이다. 전업이 아닌 보컬 임동균과 베이스 박기택은 직장 업무 등으로 함께 만나지 못했다. 아웃사이더스는 1980년대부터 인천을 중심으로 활동하다 이민우, 박창곤 등이 합류한 1992년부터 전성기를 맞았다. 아웃사이더스는 그해 10월 서울 롯데월드에서 열린 '제1회 한국록콘테스트대회'에서 우수상(2위)을 받았다. 대상(1위) 또한 인천 밴드 '사하라'였다. 이민우 씨는 “LA메탈이 유행할 때 우린 레드 제플린을 연주했던 팀"이라고 했다. 박창곤 씨는 “10여년 전 이벤트성으로 공연한 적이 있는데, 정식 공연은 1990년대 이후로 거의 30년 만"이라며 “얼마 전 멤버들과 오랜만에 합주를 했는데, 신기하게 다 기억하며 합이 잘 맞았다"고 말했다. 아웃사이더스가 제1회 한국록콘테스트에서 준우승을 차지한 곡 'Ronnies Song'(로니의 노래)이다. 건즈 앤 로지즈나 레너드 스키너드를 연상케 하는 서던록풍의 이 곡은 한국록콘테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