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
-
어머니 모시던 아들의 일기, 마저 끝낸 못다한 이야기… 이병준 세번째 작품집 지면기사
시인·수필가 이병준 어머니 봉양일기 완결편 ■ 님 떠나신 자리, 맴도는 그리움┃이병준 지음. 진원 펴냄. 350쪽. 1만8천원 시인이자 수필가 이병준의 세 번째 작품집이다. 두 번째 작품집 ‘어머니 봉양 일기’에서 미처 싣지 못했던 글들을 작가의 어머니가 작고한 지 1년 11개월 만에 다시 올려 봉양 일기를 종결했다. 2020년 10월부터 2023년 1월까지 코로나19 팬데믹 속에서 어렵사리 어머니를 요양병원으로 모셔야 하는 아들의 애끓는 심경을 솔직하게 써 내려갔다. 작가의 일기에 공감할 이들이 많겠다. “어머니! 오늘 어머니가
-
2월 셋째주 종합 베스트셀러 지면기사
-
바닷물 빠지면 갯벌에 빠져든다… 생생한 ‘뻘’ 보고서 지면기사
인천 교육자 3人, 생물소개 밀물·썰물 온몸으로 견디는 따개비 부리 찔러 갯지렁이 잡아먹는 새 등 사진과 함께 크기·분포·특징 정리 ‘생명의 땅’… 이어지는 보전 노력 ■ 댕글댕글~ 갯벌 한 바퀴┃심현보·정재흠·이학곤 지음. 지성사 펴냄. 240쪽. 2만9천원 3면이 바다로 둘러싸인 우리나라는 서해안과 남해안을 중심으로 약 3천350개의 섬이 있다. 2023년 국립해양조사원 조사에 따르면 우리나라 육지와 섬 지역 해안선 길이는 총 1만5천285㎞로, 지구 둘레의 약 38%에 해당할 정도로 길다. 긴 해안선을 따라 갯벌을 만난다.
-
[新팔도핫플레이스] 충남 천안 ‘뚜쥬루 빵돌가마마을’ 지면기사
입 벌려, 빵 들어간다! 빵돌가마에서 구워낸 빵야, 빵야 ‘여기가 빵의 천국!’ 빵돌가마마을 흥타령의 고장 충남 천안은 예로부터 삼남의 분기점이었다. 현재도 KTX, SRT, 국·전철과 고속도로가 지나는 교통 요충지다. 편리한 교통여건으로 사람과 물자와 돈이 젖과 꿀처럼 흐르는 천안에는 삼남은 물론 수도권까지 전국을 호령하는 빵테마파크가 있다. 천안시 동남구 구룡동 경부선 철로변 언덕에 자리한 ‘뚜쥬루 빵돌가마마을’이다. 뚜쥬루 빵돌가마마을은 국내 최초로 빵돌가마에서 빵을 굽는 마을이다. ■ 전국 최대 빵테마파크 단일 빵테마파크로는
-
[김나인의 오늘의 운세] 2월 20일(오늘의 띠별운세, 생년월일 운세) 지면기사
子(쥐띠)=96년 오해가 풀리고 재신임을 받게 되니 마음 근심 일시에 사라지고 84년 이타심은 인간의 소중한 덕목이니 남 돕는 일 적극적으로 72년 건강에 장애 있으나 잘 해결되니 마음 근심 벗어나게 되고 60년 마음을 비우면 세상이 달라지니 무거운 짐은 내려놓도록 48년 지인의 도움으로 가택 문제 해결되니 어려움 해결되고 丑(소띠)=97년 우연한 투자가 넉넉한 수익으로 되돌아오니 지갑이 두툼해지고 85년 기다리면 해결될 일이니 믿고 기다리면 소원 이루고 73년 투자 이익 생기고 목돈 만질 일 있게 되니 오랜만에 웃어볼 일이 61년
-
영화 ‘하녀’·‘성춘향’… 국가등록문화유산으로 지면기사
유산청 ‘낙동강’·‘돈’ 등 4편 필름 체계적 보존·활용 노력 한국 사회 생활상을 엿볼 수 있는 영화 4편이 국가등록문화유산으로 지정됐다. 국가유산청은 한국영상자료원이 소장한 영화 ‘낙동강’ ‘돈’ ‘하녀’ ‘성춘향’ 등 4편을 국가등록문화유산으로 등록했다고 19일 밝혔다. 한국전쟁 중이던 1952년 제작된 전창근 감독의 ‘낙동강’은 한국전쟁 낙동강 전투 장면 등 전쟁의 참상이 기록돼있다. 전시 상황에서도 창작 활동을 멈추지 않았던 당대 문화예술인들의 열정도 엿볼 수 있다. 김소동 감독의 ‘돈’은 1958년 개봉한 영화로 순박한 농
-
공연·전시
국악체험극 ‘숲속음악대 덩따쿵’, 수원 정조테마공연장 22일 무대 지면기사
어린이를 위한 국악체험극 ‘숲속음악대 덩따쿵’이 오는 22일 정조테마공연장 무대에서 펼쳐진다. 이번 공연은 토끼, 꾀꼬리, 곰돌이, 늑대, 여우로 구성된 숲속음악대 ‘덩따쿵’이 호랑이 생일잔치에 초대받아 국악 연주를 들려주는 내용의 체험극이다. 어린이들은 공연 도중 가야금·해금·거문고·아쟁 등 국악기를 만져보고 연주할 수 있는 기회를 갖는다. 이번 무대는 지역간 문화 격차를 해소하기 위한 국립국악원 공모사업 ‘국악을 국민 속으로’ 선정 작품으로, 남원 국립민속국악원이 기획하고 제작해 지난 2018년 초연 이후 전국 각지에서 어린이들
-
공무원 팀장 리더십 실무지침서… ‘나는 대한민국 공무원 팀장이다’ 지면기사
“꼰대와 리더 가르는 한끗 차이”… 현직 공무원이 쓴 리더십 지침서 청렴 대명사 정약용 목민심서 참고 경험 토대로 팀장들의 문제점 짚어 수원시 공무원인 장보웅 사무관이 쓴 공무원 팀장 리더십 지침서 ‘나는 대한민국 공무원 팀장이다’가 출간됐다. 공무원은 국가의 정책을 실행하고 공공 서비스를 제공한다. 특히 시민들의 요구와 사회 안전, 지역사회 발전을 견인한다. 하지만 공무원들은 시민의 기대에 부응하지 못할 경우 질타를 받기도 한다. 공무원 조직의 최소 단위는 팀이고 그 팀을 이끌어가는 것이 팀장이다. 그러나 누구는 팀장 역할을 수행
-
[전시리뷰] 웹소설·웹툰 있다면 100년 전엔 ‘딱지본 소설’ 있었다 지면기사
100년 전 베스트셀러 ‘딱지본 소설’ 화려한 표지와 이야기, 저렴한 가격 일제강점기 한글 생명력 유지 역할도 5월25일까지 근대문학관 기획전시실 인천문화재단 한국근대문학관이 기획전시관에서 진행 중인 기획전 ‘100년 전으로의 초대, 딱지본 소설에 빠지다’는 한때 가장 대중적인 읽을거리이자 즐길거리였던 ‘딱지본 소설’을 총망라했다. 딱지본의 유래에 대해선 정설이 없다고 한다. 일본에 원색으로 화려하게 채색한 사각형 딱지가 있는데, 딱지와 비슷해 딱지본이라 불렀다는 얘기는 있다. 마치 화투의 그림처럼 화려한 채색의 표지 그림이 딱지본
-
부평 산자락 50만 송이 ‘야생화 폭죽’ 지면기사
區, 7개 산에 꽃길 조성 올해 장수산에 구절초 희망산에 꽃무릇 심어 2027년까지 순차 사업 인천 부평구가 7개 산에 야생화 50만 송이를 심어 꽃길을 조성한다. 부평구는 오는 2027년까지 부평구에 있는 7개 산에 7종류 야생화를 심는 ‘부평 7산 7색, 야생화 50만 송이 꽃길 조성’ 사업을 추진한다고 18일 밝혔다. 이 사업으로 식재되는 야생화는 50만포기에 달한다. 이는 50만 부평구민이 함께 산을 가꾼다는 의미를 담고 있다. 구는 올해부터 순차적으로 야생화를 심을 계획이다. 올해에는 장수산에 구절초 8만 포기를, 희망산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