많이 본 기사
-
사상 초유 현직 시의원 2명 구속… 인천 정가 뒤숭숭
2025-03-30
-
열혈사제2 주무대인 성당, 인천시민에겐 낯익은 이곳은
2024-11-30
-
인천시 산하 5개 공사·공단, 사장·이사장 전원 교체되나
2025-02-04
-
대통령 탄핵에만 집중한 민주당, 지지율 역풍 [인천 정가 레이더]
2025-01-18
-
[단독] 인천서 메르스 의심 환자 검체검사, 폐렴·B형독감 확진… 코로나 아냐
2025-02-20
최신기사
-
인천 옛 만수천 물길 여는 생태하천 복원사업 밑그림 나왔다
인천 남동구 구도심 한가운데 자연과 문화가 공존하는 물길이 열린다. 남동구는 최근 '만수천 생태하천 복원사업 타당성조사 및 기본계획 수립 용역'을 완료해 최종보고회를 개최했다며 19일 이같이 밝혔다. 만수천은 남동구 모래내시장역 일대에서 만수동 담방마을 아파트 인근으로 흘러 장수천으로 합류하는 약 2.4㎞ 길이의 하천이었다. 하지만 주변 지역 주차난 해소를 위해 1990년대 복개돼 현재까지 주차장 등으로 이용되고 있다. 남동구는 민선 8기 역점사업으로 만수천의 사라진 물길을 되살려 주민 친수공간으로 돌려주겠다는 구상을 세웠다. 이번 용역으로 도출한 사업 방향은 '자연과 문화가 함께하는 새롭게 태어난 만수천'이다. 기본계획에는 만수천을 세 구간으로 나눠 생태, 문화, 역사를 주제로 복원하는 방안이 제시됐다. 이와 함께 주변 재개발사업과 연계해 인근에 대체 주차장(572면)을 확보하고, 구도심 활성화에 도움이 되도록 만수천 주변을 특화하는 방안도 나왔다. 이를 위해서는 사업 구간 지방하천 지정, 하천유지용수 확보, 재원 마련 등이 과제로 꼽혔다. 이날 보고회에는 박종효 남동구청장을 비롯해 구의원, 주민자치회장, 용역사 관계자 등 30명이 참석했다. 남동구는 보고회에서 논의된 내용을 바탕으로 만수천을 지방하천으로 지정하는 행정 절차를 추진할 방침이다. 또 대체 주차장과 사업비 확보를 위한 협의를 인천시 등과 지속적으로 진행하고, 장기적인 로드맵을 수립해 나간다는 계획이다. 박종효 남동구청장은 “이 사업은 구도심 친수공간 조성과 지역 활성화를 위해 꼭 필요한 사업"이라며 “1단계 사업 구간을 '지방하천'으로 지정하고, 하천유지용수를 공급받을 수 있도록 인천시 등 관계기관과 적극 협의하겠다"고 말했다. /김희연기자 khy@kyeongin.com
-
사회
'인천 민주화운동 발생지' 28일까지 안내 조형물 제막식 지면기사
인하대·선인학원·샘터교회 터에 동판… 부평역 등 총 설치장소 17곳 인천에서 민주화운동이 일어난 현장을 시민들이 바로 알도록 안내하는 조형물이 지역 곳곳에 세워지고 있다.인천민주화운동센터는 20일부터 28일까지 '인천민주화운동 발생지 조형물 설치 사업' 관련 동판 제막식을 진행한다고 18일 밝혔다. 제막식이 열리는 장소는 인하대학교(20일), 선인학원(23일), 샘터교회 터(28일) 등 3곳이다.센터는 인천에서 발생한 민주화운동 역사와 장소를 알리고, 시민들이 자긍심을 갖도록 하고자 조형물 설치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첫 번째 조형물은 지난 2016년 미추홀구 옛 시민회관 터에 세운 인천 5·3민주항쟁 30주년 기념비다.인천 5·3민주항쟁은 1986년 5월 3일 대통령 직선제 개헌을 이루고자 옛 시민회관 사거리에 시민과 학생 5만여 명이 결집한 대규모 민주화운동이다. 올해 7월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법'이 개정되면서 37년만에 법적 지위를 인정받았다.2017년 부평구 부평역 앞에는 6월항쟁 30주년 기념비가 세워지고, 2019년 부평구 백마교회 터와 부평구 인천지역노동조합협의회관 터에도 차례로 조형물이 들어섰다. 올해 미추홀구 주안노동사목 활동지(골목집) 터, 중구 인천가톨릭회관 터, 중구 인천지역사회운동연합 출범 공간 터 등까지 합하면 인천에 조형물이 설치된 곳은 총 17군데다.센터는 인천시, 인천시교육청과 공동으로 진행하는 '청소년 민주주의 체험학습' 행사의 현장으로 이 조형물들을 활용 중이다. 지난해부터 올해까지 체험학습에 참여한 학생은 총 1천여 명이다.인천시도 2019년부터 센터와 조형물 설치 사업을 함께 추진하고, 설치된 조형물들은 인천시 공공조형물로 관리하고 있다.오경종 센터장은 "이 사업은 인천시민, 특히 학생들에게 우리 지역에서 일어난 민주화운동의 의미와 역사를 제대로 알리는 역할을 하고 있어 의미가 크다"고 말했다. /김희연기자 khy@kyeongin.com
-
인천민주화운동 발생지에 동판과 기념비 등 조형물 잇따라 설치
인천민주화운동 발생지에 조형물 설치 중 2016년부터 올해까지 총 17개 세워 청소년 민주주의 학습의 장으로도 활용 인천에서 민주화운동이 일어난 현장을 시민들이 바로 알도록 안내하는 조형물이 지역 곳곳에 세워지고 있다. 인천민주화운동센터는 20일부터 28일까지 '인천민주화운동 발생지 조형물 설치 사업' 관련 동판 제막식을 진행한다고 18일 밝혔다. 제막식이 열리는 장소는 인하대학교(20일), 선인학원(23일), 샘터교회 터(28일) 등 3곳이다. 센터는 인천에서 발생한 민주화운동 역사와 장소를 알리고, 시민들이 자긍심을 갖도록 하고자 조형물 설치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첫 번째 조형물은 지난 2016년 미추홀구 옛 시민회관 터에 세운 인천 5·3민주항쟁 30주년 기념비다. 인천 5·3민주항쟁은 1986년 5월 3일 대통령 직선제 개헌을 이루고자 옛 시민회관 사거리에 시민과 학생 5만여 명이 결집한 대규모 민주화운동이다. 올해 7월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법'이 개정되면서 37년만에 법적 지위를 인정받았다. 2017년 부평구 부평역 앞에는 6월항쟁 30주년 기념비가 세워지고, 2019년 부평구 백마교회 터와 부평구 인천지역노동조합협의회관 터에도 차례로 조형물이 들어섰다. 올해 미추홀구 주안노동사목 활동지(골목집) 터, 중구 인천카톨릭회관 터, 중구 인천지역사회운동연합 출범 공간 터 등까지 합하면 인천에 조형물이 설치된 곳은 총 17군데다. 센터는 인천시, 인천시교육청과 공동으로 진행하는 '청소년 민주주의 체험학습' 행사의 현장으로 이 조형물들을 활용 중이다. 지난해부터 올해까지 체험학습에 참여한 학생은 총 1천여 명이다. 인천시도 2019년부터 센터와 조형물 설치 사업을 함께 추진하고, 설치된 조형물들은 인천시 공공조형물로 관리하고 있다. 오경종 센터장은 “이 사업은 인천시민, 특히 학생들에게 우리 지역에서 일어난 민주화운동의 의미와 역사를 제대로 알리는 역할을 하고 있어 의미가 크다"고 말했다. /김희연기자 khy@kyeongin.com
-
인천 석정·인수초에 햇빛발전소 추가로 짓는다 지면기사
市교육청, 구성원 80% 긍정평가학교 운동장 스탠드 위에 설치신재생에너지 인식개선 등 기대 인천시교육청이 학교 유휴부지를 활용해 태양광 발전시설을 조성하는 '햇빛발전소 설치 사업'을 계속 추진한다고 17일 밝혔다.인천시교육청은 정부의 신재생에너지 정책에 동참하고자 지난해 만수여자중학교에 햇빛발전소를 처음으로 설치했다. 학생과 학부모 등 시민들에게는 햇빛발전소와 연계한 친환경 체험교육도 제공했다.인천시교육청이 학교 구성원들을 대상으로 만족도를 조사한 결과 응답자의 80% 이상이 긍정적으로 평가했다고 설명했다. 이에 따라 인천시교육청은 인천석정초등학교와 인천인수초등학교에도 햇빛발전소를 설치하기로 했다.이를 위해 인천시교육청은 올해 3월 인천시민발전협동조합네트워크와 '사용허가형 햇빛발전소 설치 사업'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협약에 따라 학교는 부지를 제공하고, 협동조합은 태양광 발전설비 설치, 사용료 납부, 에너지전환 환경교육 등을 맡을 예정이다.햇빛발전소는 각 학교 운동장 스탠드 위에 설치된다. 설치 위치상 태양광 발전시설이 항상 보이기 때문에 학생뿐 아니라 해당 학교를 방문하는 학부모 등에게도 신재생에너지에 대한 인식 개선 효과가 있을 전망이다.도성훈 인천시교육감은 "기후 위기의 심각성과 탄소중립의 중요성을 인식하는 수준을 넘어 환경을 보호하려는 행동을 실천해야 한다"며 "교육청과 학교가 대응해 탄소중립과 에너지전환 실천을 선도하겠다"고 말했다. /김희연기자 khy@kyeongin.com인천인수초등학교 운동장에 설치될 태양광 발전시설 조감도./인천시교육청 제공
-
인천 남동구, 소기업·소상공인 특례보증… 올 194건 지원… 작년比 65배 늘어 지면기사
인천 남동구가 시행하는 '소기업·소상공인 특례보증 지원사업'이 지역경제에 든든한 버팀목이 되고 있다고 17일 밝혔다.이 사업은 금융기관 대출에 어려움을 겪는 남동구 소재 소기업, 소상공인을 대상으로 인천신용보증재단을 통해 보증을 지원하는 내용이다.남동구는 올해 이 사업을 통해 지역 소기업과 소상공인에게 총 50억원을 지원했다. 올해 지원 건수는 총 194건으로, 지난해보다 65배가량 높다. 남동구는 최근 고금리, 고물가 등으로 경영난에 처한 영세 기업과 상인들의 신청이 이어진 것으로 분석했다.사업 세부 내용은 남동구 기업지원과(032-453-8483) 또는 인천신용보증재단 남동지점(032-260-1500)으로 전화해 문의하면 된다. 남동구 홈페이지(www.namdong.go.kr)와 기업지원 홈페이지(biz.namdong.go.kr)에서도 내용을 확인할 수 있다.박종효 남동구청장은 "경제위기로 지친 소기업과 소상공인이 활력을 되찾도록 아낌없는 지원을 펼치겠다"며 "구민이 편하고 활기찬 경제도시로 거듭나겠다"고 약속했다. /김희연기자 khy@kyeongin.com인천 남동구청 전경./남동구 제공
-
사회
인천 '학폭피해 경험' 1.6%… 전국평균보다 낮다 지면기사
폭언 37.1%·신체폭력 18.2%·집단따돌림14.6% 순… 장소 '교실' 최다 인천지역에서 학교폭력을 경험한 학생의 비율이 전국 평균보다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인천시교육청은 지난 15일 전국 16개 시·도교육감(전북 제외)이 공동으로 실시한 '2023년 1차 학교폭력 실태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인천에서는 올해 4월 10일부터 한 달간 초등학교 4학년부터 고등학교 3학년 재학생 18만737명이 온라인으로 조사에 응했다.조사 결과 인천에서 "학교폭력 피해를 경험했다"고 답한 학생은 2천908명(1.6%)이었다. 이는 전국 평균(1.9%)보다는 낮은 수치다. 학교급별로는 초등학생 3.2%, 중학생 1.2%, 고등학생 0.4%, 기타 0.8%로 집계되는 등 낮은 연령대에서 학교폭력 노출 비율이 높았다.학생들이 경험한 학교폭력 피해 유형은 폭언(37.1%), 신체 폭력(18.2%), 집단따돌림(14.6%), 사이버폭력(7.3%) 등의 순이었다. 피해 장소는 교실 안(29.1%)이라고 답한 학생이 가장 많았고, 이어 복도계단(17.7%), 공원놀이터(9.8%), 운동장체육관강당(9%) 순으로 집계됐다.학교폭력 대응을 위해 인천시교육청은 현재 시범 운영 중인 '인천형 학교폭력제로센터'를 내년까지 인천 교육 여건에 최적화된 센터로 구축할 계획이다. 센터는 학교폭력 예방 교육, 피해 사안 처리, 피·가해 학생 갈등 조정, 관계 기관 연계 등을 통합 지원하게 된다.이와 함께 학교폭력 다수 발생 학교 또는 희망하는 학교를 대상으로 학생 간 관계 회복을 돕는 '갈등 조정 전문가 핀셋 지원'을 제공할 예정이다. 또 찾아가는 사이버폭력 예방 공연, '같이 가치 걷기' 캠페인 등 학생 정서와 연계한 사업도 강화해 나가기로 했다. /김희연기자 khy@kyeongin.com
-
존폐기로 '위기의 학교운동부'… 체질 개선·교사 동기부여 모색 지면기사
인천시교육청, 현장 체육선생님과 활성화 방안 '해법 찾기' 메달경쟁 대신 선수성장 중점 제안지도자 역량강화 자발적 참여 필요인천시교육청이 최근 선수난으로 존폐 기로에 놓인 학교운동부(12월15일자 4면 보도)의 활성화 방안을 지역 체육교사들과 함께 고민하는 자리를 마련했다. '학교운동부 체질 개선'과 '지도교사 동기부여' 등이 주된 화두였다.인천시교육청은 지난 16일 인천대학교에서 '제3회 인천 체육교육 축전'을 열고, 현재 수립 중인 '인천 체육교육 발전 종합계획' 방향을 발표했다. 이 계획은 학교운동부와 체육수업, 스포츠클럽이 인천 체육교육 발전에 균형적이고 보완적인 관계로 발전하기 위한 중장기 로드맵이다.먼저 인천시교육청은 학교운동부가 메달 경쟁보다는, 과학적이고 건강한 훈련을 통한 학생선수 성장에 중점을 두고 경쟁하도록 패러다임을 전환해야 한다고 큰 틀의 방향을 제시했다. 인천시교육청의 '찾아가는 스포츠 교실(1학교 1인 1스포츠 프로젝트)'을 점차 확대해 각 종목에 대한 학생 관심을 높이고, 진로교육과 연계해 학생선수 선발에도 활용한다는 구상이다.또 학교운동부 전면 재배치도 중요한 과제로 봤다. 소규모학교 운동부 조정, 인접한 학교에서 같은 종목으로 각각 운영 중인 운동부 통합 등 개선방안을 모색해야 한다는 판단에서다.인천시교육청 체육건강교육과 최환영 장학관은 "학교운동부 훈련방법을 과학화·체계화해 연령대별 선수의 성장시스템을 구축하고, 데이터 기반의 정책연구로 장기적인 체육교육 발전 로드맵을 마련할 것"이라며 "무엇보다 학교운동부 체질 개선이 중요하다. 학생선수 성장을 위해 교육청, 각 종목 단체, 학교 간 단절됐던 논의의 장을 열겠다"고 말했다.이날 논의 자리에선 다양한 제안도 나왔다.인천체육고등학교 정의한 교감은 "학교운동부 패러다임 변화는 지도자 역량 강화가 핵심이며, (훈련 프로그램 고민 등에) 교사들의 자발적인 참여를 이끌어낼 방안이 필요하다"며 "학교운동부 재배치는 인천체고 재구조화, 인천체육중학교 신설, 지도교사 계약 등 여러 문제와 맞물려 어
-
인천시교육청, 위기에 빠진 학교운동부 개선 방안 제시
인천 체육교육 발전 종합계획 방향 나와 학교운동부 재배치, 패러다임 전환 등 과제 교사들은 교육청과 협회의 지원 촉구 인천시교육청이 최근 선수난으로 존폐 기로에 놓인 학교운동부(<a href="http://www.kyeongin.com/main/view.php?key=20231215010001863" class="ix-editor-text-link" target="_blank" style="color: rgb(107, 173, 222); font-weight: bold;">12월 15일 4면 보도</a>)의 활성화 방안을 지역 체육교사들과 함께 고민하는 자리를 마련했다. '학교운동부 체질 개선'과 '지도교사 동기부여' 등이 주된 화두였다. 인천시교육청은 지난 16일 인천대학교에서 '제3회 인천 체육교육 축전'을 열고, 현재 수립 중인 '인천 체육교육 발전 종합계획' 방향을 발표했다. 이 계획은 학교운동부와 체육수업, 스포츠클럽이 인천 체육교육 발전에 균형적이고 보완적인 관계로 발전하기 위한 중장기 로드맵이다. 먼저 인천시교육청은 학교운동부가 메달 경쟁보다는, 과학적이고 건강한 훈련을 통한 학생선수 성장을 중점을 두고 경쟁하도록 패러다임을 전환해야 한다고 큰 틀의 방향을 제시했다. 인천시교육청의 '찾아가는 스포츠 교실(1학교 1인 1스포츠 프로젝트)'을 점차 확대해 각 종목에 대한 학생 관심을 높이고, 진로교육과 연계해 학생선수 선발에도 활용한다는 구상이다. 또 학교운동부 전면 재배치도 중요한 과제로 봤다. 소규모학교 운동부 조정, 인접한 학교에서 같은 종목으로 각각 운영 중인 운동부 통합 등 개선방안을 모색해야 한다는 판단에서다. 인천시교육청 체육건강교육과 최환영 장학관은 “학교운동부 훈련방법을 과학화·체계화해 연령대별 선수의 성장시스템을 구축하고, 데이터 기반의 정책연구로 장기적인 체육교육 발전 로드맵을 마련할 것"이라며 “무엇보다 학교운동부 체질 개선이 중요하다. 학생선수 성장을 위해 교육청, 각 종목 단체, 학교 간 단절됐던 논의의 장을 열겠다"고 말했다. 이날 자리에선 다양한
-
인천 학교폭력 피해 학생 비율, 전국 평균보다 낮아
학교폭력 피해 경험한 학생 1.6% 대부분 교실에서 폭언, 신체 폭력 등에 노출돼 인천시교육청, 학교폭력 대응 강화 방침 인천지역에서 학교폭력을 경험한 학생의 비율이 전국 평균보다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인천시교육청은 지속적으로 학교폭력 실태조사와 대응 사업을 추진하겠다는 방침이다. 인천시교육청은 15일 전국 16개 시·도교육감(전북 제외)이 공동으로 실시한 '2023년 1차 학교폭력 실태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인천에서는 올해 4월 10일부터 한 달간 초등학교 4학년부터 고등학교 3학년 재학생 18만737명이 온라인으로 조사에 응했다. 조사 결과 인천에서 “학교폭력 피해를 경험했다"고 답한 학생은 2천908명(1.6%)이었다. 이는 전국 평균(1.9%)보다는 낮은 수치다. 학교 급별로는 초등학생 3.2%, 중학생 1.2%, 고등학생 0.4%, 기타 0.8%로 집계되는 등 낮은 연령대에서 학교폭력 노출 비율이 높았다. 학생들이 경험한 학교폭력 피해 유형은 폭언(37.1%), 신체 폭력(18.2%), 집단따돌림(14.6%), 사이버폭력(7.3%) 등의 순이었다. 피해 장소는 교실 안(29.1%)이라고 답한 학생이 가장 많았고, 이어 복도계단(17.7%), 공원놀이터(9.8%), 운동장체육관강당(9%) 순으로 집계됐다. 학교폭력 대응을 위해 인천시교육청은 현재 시범 운영 중인 '인천형 학교폭력제로센터'를 내년까지 인천 교육 여건에 최적화된 센터로 구축할 계획이다. 센터는 학교폭력 예방 교육, 피해 사안 처리, 피·가해 학생 갈등 조정, 관계 기관 연계 등을 통합 지원하게 된다. 이와 함께 학교폭력 다수 발생 학교 또는 희망하는 학교를 대상으로 학생 간 관계 회복을 돕는 '갈등 조정 전문가 핀셋 지원'을 제공할 예정이다. 또 찾아가는 사이버폭력 예방 공연, '같이 가치 걷기' 캠페인 등 학생 정서와 연계한 사업도 강화해 나가고자 한다. 인천시교육청 관계자는 “올해 진행한 '학교폭력 예방 및 대응에 관한 토론회'에서 나온 정책 제안 의견과 이번 실태조사 결과를 분석해 내년도 학교폭력 예방 정
-
사회
선수가 없는데 묘수 있겠나… 인천 학교운동부 존폐 기로 지면기사
학령인구 감소·개인클럽 선호 등갈수록 얇아진 선수층에 '운영난'엔트리 못채워 대회 참가 무산도운동부 해체 혹은 요청 5곳 넘어입상 가산점 폐지에 교사도 기피인천지역 학교운동부가 갈수록 선수층이 얇아져 운영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올해 신입생 모집에 실패해 운동부를 없앴거나 내년에 폐지를 추진 중인 학교들도 잇따르고 있다.인천시교육청이 집계한 자료를 보면 인천에서 운동부를 운영하는 초·중·고등학교는 총 239곳(305팀)이다. 이 중 올해 신입생을 모집하지 못한 학교는 21곳이다. 선수 부족으로 올해 해체했거나 인천시교육청에 해체를 요청한 학교도 5곳이 넘는다.한때 전국대회 단골 입상팀이었던 A고교 여자 탁구부는 올해 열린 전국체육대회 단체전에 출전하지 못했다. 현재 A고교 탁구부 선수는 2명으로, 전국체전 단체전 엔트리 등록 기준(5명)을 채우지 못했기 때문이다. 내년 전국체전 단체전 참가도 장담할 수 없다. 인근 중학교 2곳의 여자 탁구부에 현재 선수가 각각 1학년 1명, 2학년 1명이라 내년에도 A교 탁구부 선수가 늘어날 확률은 희박하다.B중학교 배드민턴부는 현재 선수가 3학년 1명뿐이다. 그동안 B중학교는 같은 종목의 운동부를 둔 초등학교 졸업생으로 선수단을 꾸렸는데, 최근 원거리 통학 등을 이유로 학생들이 진학을 원하지 않아 선수 유입이 끊겼다. 일반 학생을 특기생으로 추천받아 훈련도 시켜봤지만, 지금은 모두 포기하고 원래 학교로 돌아갔다. 내년 3학년 학생이 졸업하고 나면 선수가 1명도 없어서 올해 11월 해체를 신청했다.학교운동부 선수가 사라지는 이유는 학령인구 감소, 개인 클럽 선호 등 복합적이다. 어릴 때부터 운동에 집중하기보다는 클럽에서 학업과 운동을 병행하는 학생들이 훨씬 많다. 올해 4월 기준 개인 클럽에 등록된 학생 수는 1천62명에 달한다. 초등학교 운동부에서 훈련을 받는 선수가 없다 보니, 같은 종목 운동부를 운영하는 중학교와 고등학교(상급 연계 학교)로까지 선수난이 이어진다.더구나 인천시교육청은 전국체전과 소년체전 입상 시 운동부 지도교사에게 부여하던 가산점(연구점수) 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