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 체험·공연에 전국 1만여마리… 동물원은 아직 변하지 않았다
    사회일반

    체험·공연에 전국 1만여마리… 동물원은 아직 변하지 않았다 지면기사

    관련법 유예기간, 프로그램 그대로 동물원·수족관 등지에서 벌어지는 동물 체험·공연을 통해 인간이 쾌락을 위한 돈벌이 수단으로 동물을 악용하고 있다는 경인일보의 지적(7월22일자 3면 보도=사람이 관람하기 위한 구조… 공원 부속시설로만 인식 '한계' [시대착오 동물원, 존폐를 묻다·(1-2)])과 관련, 실제 이같은 프로그램에 동원되는 야생동물이 전국적으로 1만3천여마리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동물복지 향상을 목적으로 시행된 동물원 허가제가 유명무실하다는 비판이 나온다.6일 국회 환경노동위원회 소속 더불어민주당 이용우 의원이 환경부로부터 제출받은 '동물원 허가제 시행 후 신규 허가한 체험프로그램 현황' 자료에 따르면, 동물원·수족관을 신고제에서 허가제로 강화한 동물원수족관법이 개정 시행된 지난해 12월 이후에도 98건의 접촉·먹이주기 체험이 있었고, 10건의 공연에 동물 1만3천여마리가 이용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앞서 지난 5월 취재진이 찾은 대전의 한 아쿠아리움에서는 나무 막대기를 든 '조련사'가 악어의 입을 열고 그 안에 손과 머리를 넣는 악어쇼가 진행되고 있었다. 당시 조련사는 움직이지 않으려고 버티는 악어의 꼬리를 잡아끌거나 몸을 막대기로 찌르며 반응을 이끌었다. 지난 6월에 방문한 하남시의 한 체험형 동물원에서도 체험 공간에 놓인 토끼가 관람객이 던지는 먹이에 맞는 모습을 볼 수 있었다.앞서 개정된 동물원수족관법 제15조 1항을 보면 동물원에서 야생동물에게 불필요한 고통과 스트레스를 가할 수 있는 올라타기·만지기·먹이주기 등의 행위를 금지한다. 다만 동물원·수족관이 허가제로 강화되면서 법이 정한 종별 서식환경·인력·안전관리계획 등의 경우 시설을 갖출 수 있도록 5년의 한시적 유예기간을 뒀다. 또 환경부는 '체험프로그램 매뉴얼'을 지자체와 동물원에 배포해 동물 대상 프로그램을 지양하도록 했다그러나 이러한 개정 취지가 무색하게도 환경부는 기존 동물원에서 운영되던 프로그램 대부분을 승인, 법 시행까지의 공백을 활용한 체험·공연 활동이 여전히 자행되고 있다. 이용우 의

  • 사회

    인하대·인하대병원 ESG 경영실천 선포… 친환경 캠퍼스·지속가능 의료환경 구축 지면기사

    개교 70주년을 맞이한 인하대학교가 인하대병원과 함께 ESG(환경·사회·지배구조) 경영을 실천하겠다고 선포했다.인하대는 최근 인하대 캠퍼스에서 '미래를 위한 새로운 출발'을 선언하는 ESG선포식을 열었다.ESG추진단을 설립한 인하대는 친환경 캠퍼스 조성·에너지 절감 캠페인을 통한 기후위기 대응, 지역사회 구성원과 함께 지역산업 고도화·지역현안 문제 해결, 대학의 공공성과 투명성 확보를 위한 윤리경영, 실천·민주적이고 공정한 의사결정 구조 확립 등을 실천과제로 정했다. 신입생을 대상으로는 ESG 소양교육을 의무화하고, 체계적 연구를 위한 ESG 대학원 설립 등 관련 교육·연구 등에도 힘쓰기로 했다.인하대병원은 지속가능한 의료환경 구축과 환자중심의 경험 개선으로 사회적 책임을 다한다는 구상이다.조명우 인하대 총장은 "개교 70주년을 맞은 올해는 인하대가 ESG 경영을 추진하는 원년"이라며 "대학이 한국 고등교육의 미래를 밝히는 등불이 될 수 있도록 지역사회와 함께 노력하겠다"고 했다. /백효은기자 100@kyeongin.com

  • [오늘 날씨] 10월 7일(월)
    환경·날씨

    [오늘 날씨] 10월 7일(월) 지면기사

  • [주말 날씨] 10월 4일 금요일-10월 6일 일요일
    환경·날씨

    [주말 날씨] 10월 4일 금요일-10월 6일 일요일 지면기사

  • [오늘 날씨] 10월 2일(수)
    환경·날씨

    [오늘 날씨] 10월 2일(수) 지면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