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
-
바다에서 건진 폐 생수병 11.7t ‘새활용’ 지면기사
해경청, 어민 대상 자원순환 사업 ‘1천개 돗자리’ 새제품으로 제작 해양경찰청은 지난해 전국 바다에서 폐생수병 25만개(11.7t)를 수거해 새로운 제품으로 제작했다고 18일 밝혔다. 해경청은 어선 운항 중에 생수병을 수거해 새 제품으로 만드는 ‘우생순(우리 생수병 되가져와 자원으로 순환해요)’사업을 진행하고 있다. 국내 등록 선박 7만2천635척 중 어선은 88%(6만4천233척)에 이른다. 해경은 해양쓰레기 수거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어선을 활용하는 ‘우생순’ 사업을 추진했다. 사업에 참여를 원한 어민들이 바다에서 폐생수병을 수
-
무의도 차 타고 오면서… 배송비 배 타는 값 받는다 지면기사
인천 중구, 택배사 4곳 시정 요구 6년전에 다리 놓였는데 추가금 “사례 다양… 공식입장 기다려” 6년 전인 2019년 육지와 다리로 연결된 인천 무의도에 여전히 비싼 도서지역 택배비가 부과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인천 중구는 택배업체 4곳에 무의도 추가 배송비에 대한 시정 조치를 요구했다고 18일 밝혔다. 다리가 놓이기 전에는 잠진도 선착장에서 배를 타고 가야했던 무의도는 2019년 4월 무의대교가 개통하면서 차량 통행이 가능해졌다. 이에 우체국과 쿠팡 등 주요 배송 업체는 무의도에도 일반 육지와 동일한 요금을 받고 있다. 하
-
[뉴스분석] ‘구급차 출산’ 재발 방지 체계 재정비 필요 지면기사
‘산과’ 빠진 순환당직제… 응급의료 사실상 ‘구멍’ 응급질환 대상에 부인과만 포함 이마저도 지난달 배제… 공백 상태 의사 수 태부족… 기피과 근본 문제 “환자 이송 시스템 정비 동반돼야” 인천에서 발생한 외국인 임신부의 ‘응급실 뺑뺑이’(3월18일자 6면 보도) 재발을 막기 위해서는 응급 산과 환자 대응을 위한 의료체계의 재정비가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지난 16일 인천국제공항에서 쓰러진 외국인 임신부가 2시간 넘게 병원을 찾다가 구급차에서 출산하는 일이 발생했다. 당시 119구급대는 산과 진료가 가능한 병원을 찾기 위해 인하
-
한강하구 쓰레기, 마지막 종착지는 결국 ‘사람의 몸’ 지면기사
인하대 산학협력단, 이동예측 모델링 연구 용역 결과 단기간 연구, 명확한 결론 아니나 미세플라스틱 어류 체내 축적 등 수중 생태계·조업 악영향 가능성 인천시 “유입 차단·저감방안 찾을 것” 한강에서 유입된 쓰레기가 먼 바다로 빠져나가지 않고 하구 내에서 장기간 머무를 가능성이 있다는 연구결과가 나와 귀추가 주목된다. 단기간에 이뤄진 연구여서 명확한 결론을 내리기 조심스러운 상황이지만, 육지에서 유입된 쓰레기로 인한 피해가 일시적인 것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하구 지역에 오래도록 머무르며 수중 생태계와 어민들의 조업에 악영향을 미칠 가
-
한강하구 가득한 쓰레기 대부분 한강서 유입… ‘임진강의 50배’ 지면기사
인천시, 이동 예측 모델링 연구 용역 행주대교 1902만개·비룡대교 37만개 표층 뿐 아니라 물속·바닥에 광범위 인천 강화도와 부속 도서를 아우르는 한강하구지역 쓰레기 주요 유입 경로는 한강인 것으로 조사됐다. 한강 하류에서 관측한 쓰레기 양은 임진강 하류보다 무려 50배나 많이 관측됐다. 인천시는 지난해 5월부터 올해 2월까지 ‘한강하구 쓰레기 이동예측 모델링 연구용역’을 진행했다. 한강하구 쓰레기 현황을 조사하고 유입 경로를 분석하기 위한 것으로 인하대 산학협력단이 연구를 맡았다. 표층·수중·침적 쓰레기 조사에 GPS부이, 멀티
-
[인터뷰…공감] ‘개체수 1만 마리 꿈’ 권인기 인천시 저어새 생태학습관장 지면기사
저어새의 개체 수 증가에 중요한 역할을 한 인물로 권인기 박사를 빼놓을 수 없다. 인천시 저어새 생태학습관 관장이자 저어새 보호 시민단체 ‘저어새와 친구들’ 대표를 맡고 있는 권 박사의 일상은 저어새로 시작해 저어새로 끝난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
인천 연수구, 취약계층 반려동물 양육비 ‘최대 16만원’ 지원 지면기사
인천 연수구가 반려동물을 키우는 취약계층을 위해 의료비 등을 지원한다. 인천 연수구는 반려동물을 키우는 취약계층에게 의료비와 위탁관리비, 장례비, 내장칩을 활용한 등록 비용 등 가구당 최대 16만원을 지원한다. 기초생활수급자, 차상위계층과 중위소득 100% 미만의 중증장애인, 한부모 가족 구성원이라면 비용을 지원받을 수 있다. 자세한 내용은 연수구 경제산업과 동물보호팀(032-749-7806)에 문의하면 된다.
-
‘노인 일자리 기관’ 공익형 활동… 인천시, 65세 이상 시민 치매 검진 사업 지면기사
인천시가 ‘노인 일자리 공익 활동’에 참여하는 65세 이상 시민을 대상으로 치매 검진을 지원한다고 18일 밝혔다. 인천시는 이달부터 오는 9월까지 강화군노인복지관, 남동시니어클럽, 계양구노인인력개발센터 등 16개 노인 일자리 수행 기관에서 공익형 일자리에 나서는 이들 중 희망자에 한해 치매 검진·예약을 지원한다. 공익형 노인 활동은 65세 이상 기초연금 수급자가 하루 3시간 독거·치매노인 가정을 방문해 말벗이 돼 주고 안부를 확인하는 사업이다. 인천시는 공익 활동 30시간 참여자들에게 매월 29만원을 지급하는데, 치매 1단계 선별
-
인천시교육청, 심곡동 빌라 화재로 숨진 하은양 유가족에 성금 지면기사
익명의 부부 기탁금 더해 844만원 인천시교육청은 지난달 화재로 숨진 문하은양 유가족을 돕기 위해 모금한 성금 844만4천원을 대한적십자사 인천지사에 전달했다고 18일 밝혔다. 성금은 인천시교육청과 산하기관 직원들이 자발적으로 모금한 544만4천원과 익명을 요청한 중년 부부가 기탁한 300만원이 더해져 마련됐다. 사고 소식을 접한 익명의 부부는 인천시교육청을 방문해 안타깝게 숨진 학생을 추모하고, 성금을 전달했다. 인천시교육청은 성금 외에 인천 지역 취약계층과 재난 피해 이재민을 위한 적십자 특별회비도 함께 전달했다. 문양은 지난달
-
계양산 산란기 두꺼비 ‘로드킬’ 막는다 지면기사
區, 다남녹지공원 인근 도로변 200m 이동 유도펜스 설치 인천 계양구는 산란기를 맞은 두꺼비가 도로를 건너다 죽음을 당하는 ‘로드킬(road kill)’ 피해를 방지하기 위해 두꺼비 이동 유도펜스 등을 설치했다고 18일 밝혔다. 인천 계양산에 서식하는 두꺼비들은 3월께 겨울잠에서 깨어나 산란을 위해 산에서 내려와 인근 습지와 저수지, 물웅덩이 등에 알을 낳는다. 이후 알에서 깨어난 올챙이는 물속에서 새끼 두꺼비로 성장한 뒤 4월 말부터 5월까지 무리를 지어 다시 산으로 이동하는 습성이 있다. 이 일대에는 생태통로가 없어 두꺼비들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