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춘추칼럼
칼럼니스트 전체 보기-
'지금것'이 소중하다 지면기사
정치적인 오해가 없길 바라지만 나는 '복원'된 청계천을 한번도 가보지 않았다. 수도권 신도시에 살며 서울을 무시로 들락거리면서도 말이다. 사진이나 영상을 통해 접하게 되는 청계천의 새로운 풍경이 내게는 먼 이국처럼 낯설기만 하다. 미관상 좋아진 것은 틀림없겠으나 어쩐지 정이 가지 않는다. 잘 알고 지내던 여자가 어느날 갑자기 성형미인이 돼 나타났을 때의 기분이 이럴까. 달라진 청계천을 찾아가 걷노라면 70년대의 그 복잡하고 지저분하던 옛 청계천이 그리워질 것만 같다. 수구레 노점상이며 박보장기 야바위꾼이며 포르노물 입간판까지도 보고싶어 콧날이 시큰해질 것만 같다. 값싸고 퇴행적인 정서라고 비웃는다 해도 어쩔 수가 없다. 내 청춘의 기억들은 그런 풍경속에 녹아 있다. 말이 나왔으니 말이지만 청계천 '복원'이란 표현은 맞지 않는다. 청계천은 지금의 모습과 같았던 적이 결코 없으니까 '정비'나 '정화'라고 해야지 '복원'이라고는 할 수 없다. 한사코 '복원'했노라고 우기는 그 청계천은 더 이상 서민들의 삶의 무대가 아니다. 거대한 조형물이요 일종의 테마파크일 뿐이다.경복궁의 정문인 광화문도 '공사중'이다. 원래의 위치로 옮기기 위해서라고 한다. 차제에 현판도 바꿔야 한다며 논란을 벌이고 있기도 하다. 거창하게 제까지 올리면서 내세운 명분을 모르는 바 아니지만 과연 막대한 예산을 써가면서 강행해야만 하는 일일까. 경복궁 창건 당시 문이 있던 자리에 표석이라도 하나 세워 후세가 바로 알도록 하면 되는 일이 아닐까. 문 하나를 옮겨짓는 것도 보통 일이 아닐 뿐 아니라, 그로인해 도로의 흐름이 달라지고 주변의 도시계획도 바뀔 수밖에 없다. 옛것을 되찾자는 마음을 누가 모르랴. 하지만 그 '옛것'이 '지금 여기'의 삶을 끊임없이 간섭하는 현상도 바람직하지는 않다.모든 것을 원래 자리에 원래 모습대로 돌려놓자고 들면 대체 무슨 일이 일어날지 상상하기도 어렵다. 가능한 일도 아니려니와 꼭 옳은 일도 아니다. 지난주에는 남쪽으로 여행을 떠난 김에 호남지방의 유명한 한 사찰에 들러보았다. 매표소를 지나 10분남짓 걸어가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