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
참성단
돈 방석에 앉기 지면기사
많은 돈을 벌면 '돈 방석에 앉는다'지만 실제로 돈 방석을 만들어 앉는 사람이 있을까. 25일 조간신문에선 대문짝 같은 한 소녀 사진에서 눈을 뗄 수 없었다. 돈 방석의 '방석'은 아니지만 돈이 가득 든 유리상자에 앉아 활짝 웃고 있었기 때문이었다. 미국 여자프로골프(LPGA) 올해 마지막 대회에서 우승한 17세 뉴질랜드 교포 소녀 리디아 고가 상금 100만달러가 담긴 돈 의자에 앉은 것이다. 1만달러 다발 100개가 든 상자가 100만달러지만 그녀는 LPGA 사상 하루에 가장 많은 돈인 150만달러(약 16억7천만원)를 벌었다고 했다. 그쯤 되면 돈 방석이 높아 올라앉기도 어렵겠지만 불가사의한 건 어떻게 그렇게 벌 수 있느냐 보다 어떻게 그런 상금이 가능한가, 그 점이다. 미국 골프 스타 타이거 우즈의 지난 해 수입은 6천120만달러, 필 미켈슨은 5천320만달러였고 축구 스타만 해도 호날두 연봉이 8천만달러(약 880억원), 메시가 6천470만달러다. 한 마디로 스포츠가 홀랑 미친 거다.지나친 돈 욕심도 추하기 그지없지만 손쉽게 버는 돈 또한 고운 건 아니다. 프랑스 희극작가 몰리에르(Moliere)의 '수전노(守錢奴)' 주인공 아르파공은 자기 딸 안셀름을 지참금없이 데려가는 노인과, 아들 클레앙트는 돈 많은 과부와 결혼시키고 자신은 아들의 연인과 재혼하려 하지만 여자보다는 끝내 돈을 택한다는 수전노 얘기지만 돈의 가치를 미처 터득하기도 전에 왕창 쉽게 버는 거 역시 보기에도 불안하다. 복권 당첨금, 잭팟 등 돈벼락이 쉽게 날리기 쉬운 것처럼 17세 소녀가 하루에 16억7천만원 돈 방석에 앉는 모습 또한 썩 고운 건 아니다. '푸른 잔디(Green)를 밟으며 산소(Oxygen)나 마시고 햇빛(Light)을 쐬며 걷는(Foot)' 신선놀음이 GOLF(골프)라지만 중국인의 골프 발음은 '까오얼푸치우(高爾夫球)'다. 마치 '기혼 남성만 치는 공(夫球)'이라는 뜻 같아 우습다.골프 천재소녀 리디아 고에게 당부하고 싶다. Ill got, ill spent다. '쉽게 번 돈은 쉽게 없어진다'는 영어 속담이다.
-
참성단
北의 핵전쟁 위협 지면기사
잊지 못할 한 폭의 영화 포스터가 있다. 1989년 5월 영화 '바람과 함께 사라지다'의 주연 배우 클라크 게이블(Gable)과 비비안 리(Leigh) 대신 포스터 그림은 레이건 미국 대통령이 대처 영국 총리를 번쩍 들어 안고 있는 모습이었지만 웃고 있는 그녀와 배경의 시커먼 핵폭발 버섯구름은 사뭇 대조적이었다. 반핵단체가 노린 점이야 뻔했다. 핵전쟁을 일으켰다간 그 누구든 '바람과 함께 사라진다'는 경고였다. 북한 핵심 인사 중 그 포스터를 기억하는 사람이 있을까. 있다면, 끊임없이 동족을 핵전쟁으로 위협하는 언사만은 삼가야 한다. 북한 최고 권력기구인 국방위원회가 23일 또 청와대를 '핵전쟁 운운' 협박했다. 그들에게 하나 더 상기시킬 게 있다. 1960년대에 미·소가 핵전쟁을 일으켰다면 미국인 7천100만, 소련·중국인 7천600만 등 1억 몇 천만이 죽었을 거라며 미 국가안전보장공사가 지난 7월 공개한 문서 그거다.미·소 cold war(냉전) 시기를 생생히 기억하는 딘 러스크(Rusk) 전 미 국무장관은 회고록에서 '그때 만약 케네디 대통령이 핵전쟁 사망자 보고를 받았다면 큰 충격과 함께 <그래도 우리가 같은 인류라고 할 수 있겠는가>라며 뒤로 넘어갔을 것'이라고 썼다. 최초의 핵실험은 1945년 7월 16일 미국 뉴멕시코 북부 사막에서 했다. 암호명 'Trinity test(삼위일체 실험)'의 그 핵폭발로 사막의 모래가 녹아내리면서 깊이 3m, 직경 330m의 구덩이가 파였고 160㎞ 밖에서도 충격파가 감지됐다. 그때 '원폭의 아버지' 존 오펜하이머는 "이제 나는 가장 큰 파괴자가 됐다"며 신음처럼 말했고 트루먼 대통령은 "노아의 방주 이래 유프라테스 계곡시대에 예언된 불에 의한 파멸시대가 올 것"이라고 한탄했다.그로부터 한 달도 안 된 8월 6일과 9일 일본 히로시마(廣島)와 나가사키(長崎)에 미군 원폭이 투하됐고 1990년 5월 일본 정부가 공식 집계한 사망자는 29만5천956명이었다. 사망자 집계가 그토록 늦어진 이유가 뭘까. 오랜 세월 죽음과 사투를 벌이다가 끝내 사망한 피
-
참성단
美 vs 中 지면기사
미국이 중국을 경계하는 까닭은 뭘까. 대국(大國)의 3대 요건인 경제, 군사, 언어대국의 틀을 중국이 무섭게 확장하기 때문이다. 세계 경제성장 기여율이 3분의 1로 미국을 넘었고 올 3분기 수출입 총액 3조1천626억 달러, 같은 시기 GDP 성장률 7.3%로 GDP 규모 세계 12.3%, 선물거래 5년 연속 1위, 9월 유라시아박람회 거래액 60억 달러, 작년 대외 직접투자 1천억 달러, 화웨이(華爲) 롄상(聯想) 샤오미(小米) 스마트폰 등 최고수준 IT 기술, 세계 최대 전자 상거래업체인 알리바바의 뉴욕 증시상장 돌풍, 뉴욕 월도프 아스토리아 호텔 등 세계 부동산 싹쓸이, 우주 개척과 세계 철도망 등 이루 예거하기도 버겁다. 게다가 GDP 성장률 7.3%가 저수준이라며 경쟁력 강화를 노려 2년4개월 만에 예대(預貸)금리까지 내렸다. 군사력은 또 어떤가. 미 의회자문기관인 미중경제안전보장조사위원회가 20일 '중국의 핵미사일 능력'에 관한 연차보고서를 발표했다. 사정 7천㎞가 넘는 잠수함 발사 탄도미사일(SLBM) '쥐랑(巨浪)2'를 하와이 동부 해상에서 발사하면 미국 전토가 사정권이라는 거다. 그런 우려를 불식시키기 위해 21일 베이징 '시앙산(香山) 포럼(안전보장對話)'에서 창완취엔(常万全) 중국 국방부장(장관)은 중국의 군사력 증강, 중국 위협론 등 각국의 염려를 말소하기 위해 이해를 촉구했다. 그럼 언어대국 상황은 또 어떤가. 중국어 학습 붐은 구미는 물론 6대주와 5대양 섬나라까지 일지 않는 구석이 없을 정도다. 그런데 미국의 신경을 자극하는 건 그런 3대 대국 요건만은 아니다. 지난 7월의 미 정부직원 개인정보, 이달 초의 USPS(郵政公社)와 국무부 메일 시스템 등의 사이버 공격에 중국부터 의심했다는 것이고 미 국가안전보장국(NSA) 로저즈 국장은 20일 의회에서 "사이버 공격으로 전력망까지 다운될 수 있다"며 역시 중국을 지목했다.울트라 강국인 미국과 중국의 대결 양상이 어떻게 전개될지 기대 반, 걱정 반이고 고래싸움 틈새의 한반도 또한 걱정 반, 기대 반이 아닐 수 없다. 눈치만 보다가
-
참성단
도서 정가제 지면기사
'고려왕이 갖고 있는 책이 수만 권에 이르며 누추한 거리에도 책을 파는 곳이 두셋씩 마주보고 있다. 결혼하지 않은 자녀는 함께 거처하면서 스승을 좇아 경서를 익히며 조금 더 커서는 벗을 골라 공부를 한다. 아래로는 평민의 어린 아이들까지도 선생을 찾아가 배운다.' 1123년 고려를 방문한 서긍(徐兢)이 쓴 기행문 '고려도경(高麗圖經)'의 한 대목이다. 당시 고려인들의 책읽기는 중국에서도 소문이 자자했었다. 정조는 '보지않는 서적이 없다'는 말을 들을 정도로 책을 좋아한 호학(好學)의 군주였다. 세손시절 베이징에서 책을 직접 수입해다가 읽었고, 즉위하자 청나라에 사신을 파견, 청나라 백과사전인 '고금도서집성(古今圖書集成)' 1만여권중 5천여권을 사오게 할 정도로 책을 좋아했다. '서점은 일곱 곳이 있다. 서점 한 곳의 책은 대충 헤아려보아도 수만권을 넘는다. 얼굴을 들고 한참 보고 있노라면, 책의 제목을 다 보기도 전에 눈이 어질어질해진다' 홍대용은 1765년 베이징 책거리 '유리창(琉璃窓)'에서 받은 충격을 '을병연행록(乙丙燕行錄)'에 이렇게 적었다. 유리창 방문은 당대 조선 지식인이라면 누구나 갖고 있던 꿈이었다. 18세기 일본에만도 300여개의 서점이 있었지만, 조선에는 단 한 곳의 서점도 없었으니 오죽했으랴. 1866년 병인양요때 강화도에 침략해 외규장각 도서를 강탈해 간 프랑스 군인은 귀국보고서에 '조선인의 집을 뒤지다보니 가난해 보이는데도 집집마다 서고가 있고 책이 가득 차 있어 자존심이 상했다'고 적었다. 우리 조상의 책사랑이 이런데, 우리나라 성인 독서량은 연평균 9.2권으로 193개 유엔회원국 중 겨우 161위다. 지난해 가구당 월 도서구입비는 고작 1만8천690원이다. 지독히도 책을 읽지않는 나라로 전락한 것이다.오늘부터 도서정가제가 실시됐다. 벌써 자유로운 가격경쟁을 방해하고, 책값만 높아져 '제2의 단통법(단말기유통구조개선법)'이 될 것이라는 말이 나온다. 지금도 책을 읽지 않는데 도서정가제를 핑계로 도서 구입이 위축될 건 불을 보듯 뻔하다. 유난히 공짜와 세일을 좋아하는데 할인
-
참성단
배우의 죽음에 신문號外 지면기사
그 나라 문화 예술인 사망 때의 언론 반응이 바로 그 나라 문화의 두께와 저변, 수준의 척도다. 1989년 미국과 일본은 요란했다. 그 해 4월 미국 코미디언 루실 볼(Lucille Ball·78)이 사망하자 LA시는 국상(國喪)처럼 조기(弔旗)까지 내걸었고 그 두 달 뒤 일본 엔카(演歌)의 여왕 미소라 히바리(美空ひばり→푸른 하늘의 종달새)가 52세로 죽자 일본은 온통 난리가 났다. 신문마다 호외를 냈고 1면 머리기사와 사회면 톱을 비롯해 간지 4~5면에 걸쳐 그녀의 노래 인생을 도배질했는가 하면 사설과 칼럼까지 썼다. 그럼 TV는 어땠는가. 5개 TV방송이 장장 29일장 과정과 장례식까지 동시에 생중계할 정도였다. 그건 마치 8.5 강도의 지진, 그런 문화적 충격이었다. 그런데 그 미소라 히바리의 유명한 노래 중 하나인 '카제사카바(風酒場)' 작곡가가 바로 한국의 박춘석씨였고 무려 2천700곡을 작곡, 숱한 가수를 발굴한 그였지만 그의 부음 기사는 달랑 박스 하나였다.1989년 그 해엔 국어학자 이희승 박사도 별세했지만 신문은 2단 부음기사와 관련 기사 한 조각이었고 2001년 원로 여가수 황금심씨도 1단 기사와 관련 기사 한 쪽뿐이었다. 배우, 가수 등 대중의 영웅뿐 아니라 학자와 작가, 언론인 사망에도 우리 언론 반응은 미미하기 짝이 없었지만 요즘은 꽤 달라졌다. 그럼 '한국의 미소라 히바리'로 불리는 이미자 별세 때도 신문 호외가 뿌려지고 TV가 긴급 뉴스를 쏘아댈 수 있을까. 일본은 1998년 영화감독 쿠로사와 아키라(黑澤明)가 죽었을 때도 신문들은 호외를 냈고 1989년 그 해 만화가 테즈카 오사무(手塚治蟲) 사망 때와 작년 11월 대형 여가수 시마쿠라(島倉千代子·75)가 타계했을 때도 언론은 요란했다. 그런데 엊그제 원로 영화배우 타카쿠라 겐(高倉健·83)이 사거(死去)하자 아사히신문이 18일 또 호외까지 냈다.그의 죽음에 중국 외교부 대변인은 "그의 별세에 애도를 표한다"고 했고 인민일보는 외신면 기사로 '일본 저명 남자배우(男演員) 까오창졘(高倉健) 거세(去世)'를 영화(追捕) 속 사
-
참성단
누리 과정? 지면기사
'누리'가 붙은 명칭이 흔해빠진 이유가 뭘까. '새누리당' '누리로 철도' '누리 텔레콤'을 비롯해 TV에서 자주 들리는 '누리꾼'에다가 누리 사업, 누리 집, 누리 마루, 누리 샘, 누리 놀이, 누리 플랜, 누리 노트, 누리 플라스틱, 누리 꿈스퀘어도 있고 온 누리, 두루 누리 등 '누리'가 뒤에 붙는 명칭도 있다. 요새 떠들썩한 말은 또 '누리 과정'이다. 유치원과 어린이집 3~5세 교육과정이 누리 과정이고 '누리 산업'은 경쟁력 높이기를 위한 지방대학 혁신(New University for Regional Innovation)이라는 거다. 그런데 왜 하필 '누리'인가. '누리'란 '세상'을 뜻하는 무덤 속 고어(古語)다. 조선 중종 때 최세진(崔世珍)의 한자 교습서인 '훈몽자회(訓蒙字會)'를 보면 '인간 世'자가 '누리 세'자로 나온다. 여기서 '인간'은 사람이 아니라 '인간 세상'을 뜻한다. '누리'→ 옛 '세상'이다.'누리 과정'부터 글러빠진 말이다. '세상 과정'이라니! 3~5세 아이들이 아니라 온갖 세상 풍파를 다 겪고 살아온 80~90대 노인들의 '노인정 간판'에나 딱 어울릴 말이 바로 누리 과정의 '누리정(亭)'이다. 그토록 무덤 속 고어를 발굴해 쓰기를 좋아한다면 '사람'은 왜 옛날 '아래 아'를 붙여 '살암(살암)'이라 하지 않는가. '아침'의 고어도 '아참'이고 '남자'의 고어는 '남진', '놀이→노리' '뿌리→불휘' '샛별→새별' '나비→나뷔, 나븨', 국유재산도 '나랏쳔'이다. 중국인에게 '누리'는 '奴隸(노예)', 일본인의 '누리'는 개칠, 먹 칠, ×칠 등의 '칠'이고. 고어가 아닌 우박과 메뚜기도 '누리'다. 그런데 '누리꾼'은 또 뭔가. '꾼'이란 씨름꾼 장사꾼 노름꾼 구경꾼 등 어떤 일을 전문적 습관적으로 하거나 몰두하는 사람이다. 누리꾼→'세상꾼'이 말이 되는가?더욱 알 수 없는 건 엊그제 서울가정법원 1층에 이혼가정 아이 면접 교섭센터인 '이음 누리'가 개설됐다는 거다. 이음 누리라면 '이음 세상'이란 말인가. 세상을 잇다니! 이승과 저승을 잇기라도 하는가? 국회
-
참성단
'자옥아, 자옥아' 지면기사
'자옥아, 자옥아/ 내가 내가 못 잊을 사람아/ 자옥아, 자옥아/ 내가 정말 사랑한 자옥아/ 내 어깨 위에 날개가 없어 널 찾아 못 간다…' 배우 김자옥의 죽음에 대뜸 떠오르는 노래가 박상천의 '자옥아, 자옥아'다. 영화배우, TV 탤런트, 성우, 가수 등 폭 넓은 연예 활동으로 만인의 사랑을 받아온 미소 천사 김자옥이 이 가을 낙엽 따라 훌쩍 떠났다. '가을엔 가을엔 떠나지 말아요/ 낙엽지면 설움이 더해요/ 차라리 하얀 겨울에 떠나요…'―'내 마음 갈 곳을 잃어' 노래로 그녀의 전 남편 최백호가 그리도 애절하게 당부했건만 그냥 매몰차게 뿌리치고 떠난 그녀. 현 남편 오승근의 노래 '사랑하기 딱 좋은 나이'까지는 몰라도 인생이 뭔지 알기에 딱 좋은 나이고 '거울 속에 비쳐진 얼굴'을 아무리 들여다봐도 서러워 눈물 날 나이는 결코 아니다. '내 마음 갈 곳을 잃어' 노래는 이제 최백호→오승근이 부를 차례인가.40대까지의 죽음을 '요절(夭折)' 또는 '요사(夭死)' '횡요(橫夭)'라고 했다. 50은 돼야 요절을 면한다고 해서 '면요(免夭)'라고 일렀다. 하지만 21세기 오늘이야 100세 시대다. 70대에 죽어도 '아쉬운 나이'라고 말하고 80대는 돼야 '어지간히 살았다', 90대에 떠나야만 '장수했다'는 소리가 나오는 게 요즘이다. '구구팔팔이삼사'라는 노장들의 건배사도 '구구팔팔이삼일'로 바뀌었다는 거다. 99세까지 팔팔하다가 2~3일 앓고 죽는 게 아니라 2~3일 앓다가 다시 일어난다는 거다. 왜? 그야 100살 마저 채우기 위해서. 더구나 100세 이상 노인의 80%가 여자라고 했건만. 그렇다면 '어깨 위에 날개만 없는' 청순한 미소 천사 김자옥의 63세 기세(棄世)는 아깝고도 아쉬운 요절이 아닐 수 없다.그녀의 부친 김상화(金相華)는 중학교 음악교사였고 '청춘묘지' '제비는 부음(訃音)처럼 날아가고' 등 써늘한 시를 쓴 시인이자 평화신문 문화부장을 지낸 멋쟁이 언론인이기도 했다. 그가 죽기 전 딸에게 남긴 시가 있다. '콩알만 한 우리 자옥이/ 바람이 불면 어쩌나/ 자옥이 가는 길에 아픔 없어라…'
-
참성단
수능→大入→스펙 쌓기 지면기사
이번 수능이 너무 쉬운 '물 수능'이라지만 물 수능이든 불 수능이든 요란한 연례행사다. 수능생 교통전쟁, 출근시간 증시개장 늦추기, 확성기 전투기 소리 금지, 산상 기도 경연, 역술가 상술(商術) 가세도 그렇지만 65만 수험생과 가족 친척 등 1천만은 신경이 곤두선다. 결과의 희비쌍곡선에다가 문제 오류는 또 뭔가. 지난해엔 세계지리, 금년엔 생명과학, 내년엔 또? 이제 대입 설명회가 인산인해란다. 대학 뚫기 경쟁과 이른바 '스펙(Spec) 쌓기' 레이스가 벌어진 것이다. 졸업 후 구직자의 학력 학점 토익 행적 등이 스펙 쌓기라지만 Spec의 specification은 열거, 상술(詳述), 명세서, 설명서라는 뜻일 뿐 외국에선 그런 Spec의 뜻으로는 쓰지 않는다. 그냥 명세서, 설명서고 작은 얼룩, 반점, 작은 알갱이, 입자라는 뜻도 있는 게 spec이다.대체, 스펙 쌓기가 그리도 중요한가. 대체적으로 그렇고 사회진출에 '필요한 조건'임은 부인할 수 없겠지만 스펙이 '필요하고도 충분한 조건'은 결코 못되고 아니다. 굴지의 천재 셰익스피어는 14세까지 교육을 받았고 '팡세'의 천재 파스칼은 독학, 발명왕 에디슨은 초등교육 몇 년간 꼴찌만 했다. 현대사만 봐도 노벨문학상 작가인 영국의 버너드 쇼와 스웨덴의 욘손(Jonson)은 초등학교만 나왔고 타나카(田中角榮) 전 일본 총리, 메이저 전 영국 총리도 고졸이다. 학력이 없거나 시원찮은 인류사의 위인, 천재는 헤아릴 수도 없다. 같은 학력이지만 '學歷≠學力'이다. 근본적으로 다르고 전혀 질이 다르다. 더구나 스펙 철폐가 시대적 추세다. 삼성 등 굴지의 기업이 중요시하는 건 자질, 독창성, 가능성 등이지 스펙이 아니다.미국은 10대 CEO 시대다. 스마트 폰을 겨냥한 APP(application)―응용 개발, 3D 프린트 활용의 10대 창업이 유행이다. 'bread & butter software'라는 흥미로운 회사명의 16세 CEO 폴 대나프 군(코네티컷 주)은 9살부터 APP을 개발, 12세에 애플 제품에 APP 제공을 개시해 하루 800달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