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 [사설] ‘강화 고대섭 가옥’ 문화적 활용 높일 대책 세워야
    사설

    [사설] ‘강화 고대섭 가옥’ 문화적 활용 높일 대책 세워야 지면기사

    인천시 지정 유형문화유산 ‘강화 고대섭 가옥’에 대한 법원 경매가 진행 중이다. 금융권 등에 저당 잡힌 빚을 갚지 못한 강화 고대섭 가옥은 인천지방법원 경매 담당 부서에서 청구 금액 4억3천600여만원으로 하는 경매 절차가 진행되고 있다. 채권자는 여럿인데, 이 가옥을 담보로 한 총 채무 금액은 8억여원인 것으로 알려졌다. 강화 고대섭 가옥은 전통 한옥에 일본식 건축 양식이 혼합하면서 당대 시대상을 반영하고 있다는 평가를 받아 2006년 인천시 지정 유형문화재 제60호로 지정된 바 있다. 인천시 관리번호가 부여된 지정 유형문화유산은

  • [경인만평] 형상복원(?) 정치
    만평

    [경인만평] 형상복원(?) 정치 지면기사

  • 미스터 달팽이(이공명)
    만화

    미스터 달팽이(이공명) 지면기사

  • [참성단] 한·중 바둑 분쟁
    참성단

    [참성단] 한·중 바둑 분쟁 지면기사

    한국과 중국의 바둑 전쟁이 뜨겁다. 지난달 23일 메이저 세계기전인 LG배 결승전에서 사달이 났다. 결승 3국에서 사석(死石) 규정 위반으로 벌점을 받은 중국의 커제(柯洁) 9단이 대국을 포기해 한국의 변상일 9단이 기권승으로 우승배를 차지한 것이다. 결승 2국에서 같은 규정 위반으로 반칙패한 커제는 재대국을 요구하며 거칠게 항의했다. 바둑 승패를 가리는 계가는 공인된 국제 규정이 없다. 사석을 계가에 쓰는 한국과 일본 바둑에선 사석의 숫자가 형세 판단에 중요하다. 반상 위의 살아있는 돌만 헤아려 계가하는 중국에선 기사들이 사석을

  • [조용준의 ‘맛대가리’] 함경도의 영혼 음식, 가자미식해
    칼럼

    [조용준의 ‘맛대가리’] 함경도의 영혼 음식, 가자미식해 지면기사

    어육·곡물 소금에 삭힌 젓갈 北실향민 고향 그리움 달래던 음식 흰 쌀밥 위에 한 뭉치 올려 먹으면 느껴지는 척박한 함경도 생존 의지 이젠 속초에나 가야 즐길 수 있어 임시 공휴일이 더해져 달콤하게 길었던 설 명절 연휴는 끝이 났다. 명절이면 누구든 고향을 그리워한다. 그래서 발걸음은 자연스럽게 고향으로 향한다. 하지만 고향을 갈 수 없는 이들도 있다. 고향이 북쪽인 실향민들이다. 전후(戰後) 세월이 꽤 흘렀다. 이제는 고향보다 하늘로 향한 실향민들이 더 많다. ‘고향 생각나실 때면 소주가 필요하다 하시고’라는 가수 강산에의 노래가

  • [사설] 합법화된 해양장, 지자체 가이드라인 만들어야
    사설

    [사설] 합법화된 해양장, 지자체 가이드라인 만들어야 지면기사

    지금까지 자연장(自然葬)이라 함은 화장한 유골의 골분(骨粉)을 나무나 화초, 그리고 잔디 등의 밑이나 주변에 묻는 것만을 뜻했다. 장사 등에 관한 법률 시행령이 그렇게 정해왔다. 그렇다면 우리가 영화나 드라마에서 종종 보아온, 바다나 산자락에 골분을 뿌리는 방식의 장례는 합법적이지 않았다는 얘기다. 하지만 개정된 장사 등에 관한 법률 시행령이 지난달 24일부터 발효되면서 산분장(散粉葬)이 자연장의 하나로 공식 인정을 받게 됐다. 육지의 경우 기존의 자연장이 지면으로부터 30㎝ 이상의 깊이에 화장한 유골의 골분을 묻는 방식이었다면 새

  • [월요논단] 제왕적 대통령제, 정말 문제인가?
    월요논단

    [월요논단] 제왕적 대통령제, 정말 문제인가? 지면기사

    美 역사가 슐레진저가 처음 사용 비난에 손쉽게 동원되는 정치용어 여소야대는 ‘제왕적’이지 못하고 비타협적 정당 간 관계 문제 근원 ‘尹의 비극’ 당내 비협력에서 비롯 우리나라 정치문제들의 근원에 ‘제왕적 대통령제’가 있다는 주장이 끊임없이 제기돼 왔다. 최근 윤석열 대통령 탄핵 사태를 겪으면서 그 주장에 힘이 실리고 있다. 대통령에게 부여된 지나치게 막강한 권한으로 인해 이런 사태가 초래됐다는 것이다. 그런데 우리 대통령제가 정말 제왕적인가? 그리고 제왕적 대통령제가 정말 문제의 근원인가? 대통령이 헌법과 법률이 정한 한계를 넘어

  • [사설] 시비 압도할 정당성으로 헌재 심판의 권위 세워라
    사설

    [사설] 시비 압도할 정당성으로 헌재 심판의 권위 세워라 지면기사

    최상목 대통령 권한대행이 지난달 31일 ‘내란 특검법’에 대한 재의요구권(거부권)을 행사했다. 윤석열 대통령을 비롯한 군경의 핵심 인물이 대부분 구속·기소되고 재판이 시작됐다는 이유를 들었다. 그러나 1999년 조폐공사 파업 유도 및 옷로비 사건이나 2007년 BBK 주가조작 사건 등 여러 특검이 관련자 기소 이후에 수사 미진 등을 이유로 도입된 적이 있다. 또한 무엇보다 중요한 윤 대통령의 범행 동기를 비롯해 비상계엄과 내란행위 전모 등 밝힐 게 한 두 가지가 아니다. 윤 대통령이 기소됐지만 공수처 수사를 거부해 왔고, 제대로 된

  • [경인만평] 장벽인가? 감옥인가?
    만평

    [경인만평] 장벽인가? 감옥인가? 지면기사

  • [오늘의 창] 꿈과 현실
    오늘의 창

    [오늘의 창] 꿈과 현실 지면기사

    ‘100만명 돌파’. 지난해 6월말 기준, 가평군의 생활인구 지표다. 행정안전부와 통계청이 지난해 10월 발표한 ‘2분기 89개 인구감소지역(시군) 생활인구 산정 결과’에 따르면 가평군의 생활인구는 6월 말 기준 총 106만2천943명으로 나타났다. 이는 앞선 지난해 3월말 기준 69만5천여 명보다 30만 명 이상 증가한 것으로 이는 군 등록인구의 약 17배에 달한다. 생활인구 100만여 명은 주민등록인구 6만2천393명, 체류인구(월 1회 하루 3시간 이상 머문 인구) 99만8천953명, 외국인 1천597명을 모두 합한 것으로 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