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
미스터 달팽이(이공명) 지면기사
-
[참성단] 수난 당하는 ‘평화의 소녀상’ 지면기사
단발머리 소녀는 의자에 앉아 두 주먹을 쥐고 정면을 응시하고 있다. 무례한 일본정부에 대한 분노가 담겨있다. 어깨 위의 작은 새는 고인이 된 위안부 피해자 할머니들의 영혼과 후손들을 이어주는 영매(靈媒)다. 빈 의자는 소녀와 나란히 앉아 역사의 아픔을 되새겨보는 자리다. 할머니 형상의 그림자 속에는 나비 한 마리가 새겨있다. 나비로라도 환생해서 일본정부의 사죄를 받아야 한다는 절규가 날갯짓하는 듯하다. 일본정부는 줄곧 “일본군이 군대 위안부 문제에 관여하지 않았다”라는 파렴치한 태도를 보여왔다. 용기를 낸 고(故) 김학순 할머니는
-
[기고] 송도 조류 대체서식지 조성, 개발·자연보전 균형 첫걸음 지면기사
송도 갯벌은 철새 이동 경로의 중간 기착지이자 물새 번식지 대규모 매립으로 위기 있었지만 인천경제청 보완·회복사업 시작 자연과의 공존… 시민 지지 중요 송도 매립 30주년, 송도국제도시는 그동안 대한민국을 대표하는 첨단 비즈니스 도시로 자리잡았다. 그리고 송도는 이제 단순히 개발을 넘어 지속 가능한 생태도시로 나아가기 위한 새로운 도전에 직면해 있다. 송도 갯벌은 호주와 러시아를 아우르는 동아시아-대양주 철새 이동 경로의 중요한 중간 기착지이자 저어새 등 주요 멸종위기 물새들의 번식지를 부양하는 역할을 해왔다. 그러나 1980년대부
-
[수요광장] 더 이상 차별은 없다고 말하는 이들에게 지면기사
성에 대한 사회 기회 균등해졌대도 문제 제기시 ‘드센 여자’ 꼬리표 등 여전히 성차별 관련 지수서 ‘맨 뒤’ 이런 시류에 얽힌 동덕여대 사태는 마녀사냥에 안전한 공간으로서 필요 여중을 졸업하고 남녀공학에 입학했지만 반이 구분되어 있어 여고와 다름이 없었다. 대학에 입학해 대학원까지 다녔으나 남학생이 거의 없어 그동안은 성차별을 겪을 틈이 없었다. 이것이 성에 대한 차별이겠구나 싶었던 건 대학에 교수로 임용된 후였다. 학과에 발생한 문제에 접근하는 대학의 남성 보직자 교수나 남성 교직원의 태도는 권위적인 아버지가 딸을, 혹은 권위적인
-
[사설] 선거법 공소시효를 정당법에 맞춰야 한다 지면기사
민주당의 위인설법형 입법권 남용이 정쟁으로 비화하고 있다. 주로 이재명 대표가 재판받고 있는 관련법에 대한 민주당 의원들의 개정안 발의나 시도들이다. 국민의힘은 이 대표에 대한 민주당 의원들의 충성경쟁이 빚어낸 방탄입법이라 비난한다. 이 과정에서 지난 9월 발의된 정당법 개정안이 뒤늦게 알려지면서, 이 대표와 상관없는 입법권 남용 사례로 주목받고 있다. 민주당 김교흥 의원이 대표발의한 정당법 개정안의 핵심 골자는 당내 경선 불법행위에 대한 공소시효를 6개월로 명문화하는 것이다. 부칙엔 법 시행 이전에 발생한 범죄행위에도 개정안을 소
-
[노트북] 디지털콘텐츠 제작기 지면기사
올해 디지털콘텐츠센터에 합류했다. 이전에는 늘 기사를 쏟아내야 했던 터라 한 가지 사안을 깊숙이 들여다보고 싶다는 마음이 있었다. 소위 정해진 기승전결을 따르는 보도가 아닌 ‘색다른’, ‘흥미로운’ 볼거리를 만드는 게 목표였다. 그 과정에서 낯선 상황이 많아 조심스러웠다. 첫번째 연재물인 ‘당신의 병명은 마약중독’을 취재할 때는 중독자를 여럿 만났다. 인터뷰를 꺼리는 이들을 간신히 설득해내기까지의 과정이 쉽지만은 않았다. ‘지금 당신 옆, 기후괴담’에서는 글을 색다르게 풀어가려 시도를 했고 ‘경기도 빈집 리포트’를 만들 땐 경인일보
-
[경인칼럼] 풍선전쟁과 한국의 위기 지면기사
21세기 한반도에선 퇴행적인 공방 벌어지고 유럽선 北 러시아 파병 등 남북 현대전 위기 韓, 트럼프 재집권에 외교적 입지 위축 상황 尹 정부 이념지향적 가치외교로 타개 난항 한반도에는 기묘하고 우스꽝스러운 전쟁이 벌어지고 있다. 남북한이 전단이나 쓰레기를 풍선에 매달아 상대편에 날려 보내는 풍선전쟁이다. 북한이 날려 보낸 풍선은 바람을 타고 서울 시내 곳곳으로 날아와 터지며, 용산대통령실 마당에까지 날아와 터진다. 참으로 너저분하고 퇴행적인 공방을 21세기에 벌이고 있는 것이다. 오물풍선이 공중에서 터지면 생화학 물질검사를 하고 수
-
[사설] 인천시가 선도하는 ‘와상 장애인 이동권 보장’ 지면기사
인천시가 병상에 누워 생활하는 ‘와상 장애인’의 이동권 보장을 위한 대책 마련에 나선다. 인천시인권보호관회의(이하 보호관회의)는 지난 10월 말 ‘와상 장애인’을 위한 이동권 보장책 마련을 인천시에 권고했고, 시가 이를 수용한 것이다. 인권침해나 차별행위 등을 바로잡기 위해 ‘인천시 시민인권보장 및 증진에 관한 조례’에 따라 만들어진 보호관회의는 변호사와 연구단체·인권단체 관계자 등으로 구성됐다. 시민단체 한국인권진흥원은 지난 7월 인천시 거주 와상 장애인들의 이동권과 의료 접근권을 보장받을 수 있도록 대책을 마련해달라는 취지의 진
-
[경인만평] 신의 자제 지면기사
-
미스터 달팽이(이공명) 지면기사